시조의 율격 레포트

 1  시조의 율격 레포트-1
 2  시조의 율격 레포트-2
 3  시조의 율격 레포트-3
 4  시조의 율격 레포트-4
 5  시조의 율격 레포트-5
 6  시조의 율격 레포트-6
 7  시조의 율격 레포트-7
 8  시조의 율격 레포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의 율격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시조의 율격

Ⅰ. 서론
Ⅱ. 평시조
Ⅲ. 엇시조
Ⅳ. 사설시조
Ⅴ. 결론
Ⅰ. 서론
시조는 고려 말부터 발달한 정형시로, 조선 시대에 많이 지어지고 오랫동안 향유된다. 본고에서는 시조의 운율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정리하면서 시조의 운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지는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로 나누어 전개하고자 한다.
시조의 율격에 대한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시조 부흥 운동과 더불어 주로 시조의 정형 양식을 구명하기 위한 작업이 시도되었다. 이 때에는 章·句의 형식과 그 字數로 시조의 정형을 규정하려 했다. 가람 이병기가 시조의 형식을 평시조·엇시조·사설시조로 나눈 것도 바로 이 시기로, 이는 단형·중형·장형에 해당하는 시조 작품들을 각각 명명한 것이었다. 이 때의 시조 연구는 시조가 정형시라는 전제 하에 평시조를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도 이러한 연구 경향은 계속된다.
해방 후 시조 율격 연구는 한국 전통시가의 율격 체계 구명과 더불어 이루어졌는데, 이 때는 字數로 율격을 따지는 것을 지양하고 음보를 율격의 단위로 삼았다. 그 음보를 이루는 기저 자질을 강약으로 보는 견해가 대두되고, 이어서 기저 자질을 고저·장단으로 보는 견해가 나타난다. 시조의 율격을 음보로 보는 견해에서는 일반적으로 시조를 4음보격 3행시로 보았다. 80년대에 들어오면 음절을 기본으로 한 음보율이 보편적으로 시조의 율격 단위로 인정된다. 예창해, 시조의 운율체계와 미의식, 『진단학보』 66, 진단학회, 1988, 1쪽
시조의 율격에 대한 오랜 논의 중에는 시조를 음수율로 다룬 것이 많다. 그러나 음수율은 일본 시가 율격론을 우리의 시조에 적용한 것이다. 일본 시가에서는 자수가 고정되어야 정형시라 부른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 나라와 음운 체계 등 문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시가 율격을 기준으로 우리 시조의 율격을 논할 수 없으며, 자수가 고정되어야 정형시이고 그렇지 않으면 불완전한 정형시이거나 정형시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실제로 서원섭에 의하면, 시조의 초장·중장·종장의 자수가 일정한 경우는 전체 시조의 4%밖에 되지 않는다. 시조에서는 자수가 고정되지 않고 변하기에, 음수율로 자수를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조동일, 『한국 민요의 전통과 시가 율격』, 지식산업사, 1996, 212쪽
Ⅱ. 평시조
평시조는 3장 형식으로 이루어진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시조이다. 평시조의 경우 사설시조나 엇시조에 비해 논의가 많이 진행되었다.
이찬욱은 시조의 음악적인 구조를 통해 시조의 운율을 재구했다. 시조의 음악적 구조를 보면 3박자를 단위로 하나의 마디가 되고, 2개의 마디가 1개의 동기가 되며, 2개의 동기가 1개의 작은악절이 된다고 한다. 이를 시조의 운율 구조와 연관 시키면, ‘마디’는 ‘음보’, ‘동기’는 ‘句’, ‘작은악절’은 ‘行’과 짝이 된다고 한다. 여기서 한 마디가 3박자라는 것은 정형성을 지니는 음보의 음 지속량이 궁극적으로 3음절이라는 것이다. 즉, 시조의 한 음보는 기본적으로 3음절이라는 것이다. 이찬욱, 시조 율격에 대한 시고(1), 『어문논총』 23, 중앙어문학회, 1994.
조동일은 평시조의 율격을 ①3행, ②2음보가 반행 또는 반줄을 이루고 반줄이 둘씩 연결되어 있는 4음보격, ③기준 음절 수는 4음절, ④종장의 제1음보는 기준 음절 수 미만이고 제2음보는 기준 음절 수를 초과한다고 보았다. 여기서 ‘행’은 일정한 수로 되풀이되는 음보의 연속으로, 한 행은 한 번의 호흡으로 읽을 수 있는 길이다. 평시조는 초장·중장·종장을 각기 한 행으로 읽을 수 있다. 그리고 평시조는 4음보격으로 고정되어, 여유 있고 안정된 상태·골계미를 표현할 때 쓰이는 형식이라 했다. 조동일, 위의 책, 268-269쪽
예창해는 평시조의 율격을 분석하였다. 시조가 특정한 악곡에 얹혀 가창된 시가인 점과 율격이 리듬으로 실현되는 점을 감안하여, 시조의 율격 체계를 분석할 때 시조의 唱曲·한국 시가의 율격 체계·한국인의 미의식을 고려했다. 시가의 율격은 일차적으로 언어의 특성에 의해 형성되지만, 그 형태나 양식은 시적 인식 방법과 미의식이 관여하기 때문에 한국인의 미의식을 고려한 것이다. 시조가 가창되었음을 고려하면서도, 그는 시조가 문학적 요구와 문학적 조건에 의해 형성되었기에 시조의 형태를 문학적 형식으로 보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