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시조 레포트

 1  [국문학] 시조 레포트-1
 2  [국문학] 시조 레포트-2
 3  [국문학] 시조 레포트-3
 4  [국문학] 시조 레포트-4
 5  [국문학] 시조 레포트-5
 6  [국문학] 시조 레포트-6
 7  [국문학] 시조 레포트-7
 8  [국문학] 시조 레포트-8
 9  [국문학] 시조 레포트-9
 10  [국문학] 시조 레포트-10
 11  [국문학] 시조 레포트-11
 12  [국문학] 시조 레포트-12
 13  [국문학] 시조 레포트-13
 14  [국문학] 시조 레포트-14
 15  [국문학] 시조 레포트-15
 16  [국문학] 시조 레포트-16
 17  [국문학] 시조 레포트-17
 18  [국문학] 시조 레포트-18
 19  [국문학] 시조 레포트-19
 20  [국문학] 시조 레포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시조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시조의 개념 및 명칭
2. 시조 형식의 연원
(1) 외래기원설
(2) 재래 기원설
3. 시조 형식의 형성
4. 시조의 율격과 구조
(1) 시조의 율격
① 음수율의 문제점
② 음보율로의 전환
③ 음량률
④ 엇시조와 사설시조의 율격
(2) 구성요소
① 장(章)과 구(句)
② 장별 특징 - 종장에 대한 논의
5. 시조의 향유 계층
(1) 양반 사대부 계층의 시조
(2) 임금 계층의 시조
(3) 기녀 계층의 시조
(4) 평민 가객(歌客) 계층의 시조
6. 시조의 문학적 분류
(1) 평시조 [단형시조]
(2) 엇시조 [중형시조]
(3) 사설시조 [장형시조]
(4) 연시조
7. 시조의 내용
(1) 시조에서의 정치의식
(2) 시조에서의 애정
① 단형시조
② 장형시조
(3) 시조에서 나타난 불교의식
(4) 시조에 나타난 도가적 소재
(5) 시조에서의 유교학문
(6) 시조에서의 송도
(7) 시조에서의 생활 표현
(8) 훈민 시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 론

1. 시조의 개념 및 명칭
시조는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시대까지 활발하게 창작되던 우리 고유의 시가 양식이며 아직도 많은 문인들에 의해서 사랑받고 있다. 시조는 본래 시가에 대한 문학적인 명칭이 아니고 원래 음악의 하나인 창곡명이었다. 시조는 이전에는 신번(新飜), 신성(新聲), 신조(新調), 단가(短歌) 등으로 불려왔으며 이는 고악에 대한 새로운 노래라는 뜻을 지닌다. 즉 시조는 근세 이전까지 문학작품이기보다는 가곡의 노랫말로서 위치를 지녔다.
시조라는 명칭이 역사 문헌에 나타나는 것이 그리 오래지는 않다. 이병기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처음으로 ‘시조’라는 명칭이 쓰인 것은 영조 시대 사람인 신광수의 『석북집』관서악부 15에서 ‘一般時調排長短 來自長安李世春’라는 문구가 보이는데 이를 해석하면 ‘일반 시조를 장단에 맞추어 부르니 그는 장안에서 온 이세춘이라’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이를 비롯한 다양한 기록을 보면 이 명칭은 조선왕조 영조 때 생겨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시조는 또한 시절가, 시절가조(時節歌調)라고도 불렸는데 근세에 와서 용어를 줄여서 시조라 지칭한 것이다. 시절가조는 당시의 새로운 창법을 가리키는 말로서 5장으로 부르는 가곡창과 더불어 3장으로 부르는 시조창이 있었음을 이야기한다.

寶兒등 기생의 무리 자못 수다스러워 寶兒一隊太癡狂(보아일대태치광)
길에는 아리따운 옷맵시가 널려 있네 截路聯衫小袖裝(절로연삼소수장)
시절단가 그 가락이 흥건한 그 가운데 時節短歌音調蕩(시절단가음조탕)
찬 바람 밝은 달에 3장을 노래하네 風冷月白唱三章(풍랭월백창삼장)

위의 글은 유만공(柳晩恭)의 『세시풍속(歲時風謠)』에 실린 것이다. 시절단가는 그 시절조로 부르는 단가를 말함이고 시절가(時節歌)도 그러한 뜻인 시절의 노래라는 의미이다. 시절가는 위와 같이 시절단가라고도 불렀고 그것은 ‘3장으로 노래하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가곡창 5장으로 불러오던 것에서 파생하여 3장의 시조창으로 성립된 것이다.
이처럼 시조는 음악으로서의 주된 구실을 하였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그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즉 양악이 번창하고 자유시가 한국 시단을 풍미할 때 일어난 시조부흥 운동을 계기로 음악적인 요소와는 달리 문학사적인 위치를 정립하게 된다. 최남선은 시조부흥운동을 통해서 시조시집 『백팔번뇌』(1920)를 펴내고 시조를 이전 가집에서 곡조와 작가에 따라 분류한 것을 새롭게 바꾸어 작품의 내용에 기준하여 분류하였다. 이러한 취지는 음악으로서의 운동이 아닌 문학으로서의 입장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시조가 음악과 결별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노산 이은상의 『노산시조집』(1932), 가람 이병기의 『가람시조집』(1939)등이 나오면서 시조의 명칭은 완전한 문학양식으로서 정립된 것이다. 앞의 책, P155

참고문헌
김대행(1986),『시조유형론』이대출판부
김광순 외(2003),『국문학개론』새문사
김대행(1998-제6쇄), 『시조유형론』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흥규(1977),『고대어문론집 19~20합집』「평시조 종장의 율격 · 통사적 정형과 그 기능」 -박성의 선생 회갑 기념호
서원섭(1977), 『시조문학연구』 형설출판사.
서원섭(1977), 『평시조의 형식연구』 어문학
성기옥(1986),『한국시가율격의 이론』 새문사
성기옥 외(1992),『한국문학개론』 새문사
정병욱(1999), 『백영 정병욱 저작 전집⑤』-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이숭겸 발행, 신구문화사.
조동일(1984),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한길사.
조동일(1997),『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