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

 1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
 2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2
 3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3
 4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4
 5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5
 6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6
 7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7
 8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8
 9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9
 10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0
 11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1
 12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2
 13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3
 14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중세사연습 지방세력의 기반 신라 촌주층 직제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 존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방세력의 기반
Ⅰ. 머리말
Ⅱ. 지방 세력의 기반
1. 신라 촌주층의 직제와 나말여초 호족층의
관반의 존재양태
⑴ 신라 촌주층의 직제
⑵ 호족층의 관반
2. 경제적 기반
⑴ 지방세력
① 호족의 성격변화
② 지방 세력의 경제적 기반
ⅰ) 지방토착세력의 경제적 기반
ⅱ) 지방관세력의 경제적 기반
③ 호족의 영역 지배와 그 경제적 기반
④ 국가 통제와 호족의 경제적 기반
ⅰ) 역분전제 실시의 기초
ⅱ) 역분전제와 호족의 경제적 기반
⑵ 해상세력
① 개성 지방의 지리적 조건
ⅰ) 위치상의 요충
ⅱ) 교통망의 발달
② 개성 지방의 역사적 배경
③ 왕건선세를 기반으로 한 해상세력의 기반
④ 왕건의 수군활동
3. 지식적 기반
⑴ 지방지식인
⑵ 지방지식인의 성장 배경
⑶ 지방지식인의 성격
⑷ 호족과 결합한 지방지식인의 활동
Ⅲ. 맺음말
Ⅰ. 머리말
앞서 지방 세력의 구성과 활동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지방 세력들의 성장을 가능케 했던 그 기반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官班의 직제들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어 있고, 또 지방 세력을 사회지배세력으로 성장시켰던 경제적 기반은 무엇이며, 또한 그들이 활동하기 위한 지식 기반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羅末麗初 豪族으로의 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는 지방 세력의 여러 기반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지방세력의 기반
1. 新羅 村主層의 職制와 羅末麗初 豪族層의 官班의 存在樣態
羅末麗初期의 豪族層은 新羅期에 있어서 재래의 토착 村主層과 일찍부터 外居하기 시작한 중앙 귀족의 후예들이었다. 그런데 이들 豪族層은 신라의 지배로부터 이탈하면서 新羅期 村主層의 職制를 통하여 行政末端에 참여해 온 경험과 발달된 중앙관제의 영향 속에, 중앙관제에 방불한 스스로의 官班을 형성하고 民衆을 통치하여 갔다. 따라서 이러한 그들의 官班은 이제 그들이 民衆支配의 주체가 되는 새로운 사회의 지배층으로서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정립하는 表徵이 되는 것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豪族 官班을 통하여 볼 때 그들 豪族層의 통합과정에서 정비되는 고려의 지배체제도 외형상은 唐制의 모방아래 국가권력의 의지에서 제시된 듯하나 그 이면에는 위와 같은 나말여초의 豪族層의 독자적인 官班 운영의 역사적 경험이 바탕이 되고 있다고 이해된다. 나아가서 고려의 身分體制上에 나타나는 班體制의 현상이나 鄕吏 또는 특수 신분층으로서의 百姓層의 出仕의 가능성 등 고려의 지배층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현상도 바로 그러한 데서 연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⑴ 新羅 村主層의 職制
新羅의 지방 村主는 기본적으로는 몇몇 自然村으로 구성된 地域村을 관장하는 그 지역 토착 지배 族長에게 주어진 職名이다. 그런데 이러한 村主들은 다시 州治·郡·縣 등 중앙에서 획정한 행정구역 단위로 일정하게 편성되어 몇몇 전문분야의 職任者들을 이끌고 그 구역 내의 행정실무를 함께 담당하고 있었다.
新羅의 村主 및 예하의 職制를 당시 일반 행정구역이었던 郡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자. 郡의 경우, 眞平王 13年에 건립된 南山新城碑에는 당시 각지의 役夫를 인솔하고 축성에 임했던 지휘부가 지역별로 기재되어 있는데, 그 중 第1·第2碑의 내용에 나타나는 村主 이하의 편성을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도표화 할 수 있겠다.
당시 郡內에는 몇몇의 村主가 上村主·中村主·下村主로 편제되어 그 상층부를 이루고 그 밑에는 匠尺·文尺·作上 등 職任者들이 예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중 作上은 토목공사 등을 담당하는 將作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단위 村 또는 城의 役夫를 지휘하는 그 村主級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밑에는 다시 匠尺·文尺·石捉上들이 있다. 따라서 村主만을 보면 郡村主와 作上인 단위 村主로 편제되고, 전체적으로는 郡과 그에 소속된 단위 城·村의 職任이 이중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