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

 1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1
 2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2
 3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3
 4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4
 5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5
 6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6
 7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7
 8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8
 9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분석
1.서론
2.본론
(1)고려 지방제도의 특성
(2)고려 신분제 사회의 형성 배경
(3)향리계층의 구분
(4)향리의 지위
1)법제적 지위
2)경제적 지위
(5)향리의 역할
(6)향리의 사회적 신분변화
1)고려초의 향리신분
2)고려말의 향리신분의 변화
3.결론
1. 서론
우리는 흔히 향리를 지방사회에서 잡다한 행정업무를 처리하는 계층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한다. 사극에서는 때때로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하고 있는 이방이 수령의 옆에서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보여주는데 이와 같은 모습이 우리가 알고 있는 향리에 대한 인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확실히 조선시대에 이르러 향리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중간에서 지배층을 호위하고 그들의 명령을 유연하게 대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이전시기보다 체제가 공고히 된 상황을 보여주는 조선 사회의 한 단면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향리층에 대한 인식은 단지 조선사회안에서의 모습을 뿐이다. 고려시대의 향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전반적인 그들에 대한 인식을 훨씬 더 뛰어넘는 역할과 의미를 부여받는 존재였다. 이것은 고려시대의 향리계층이 지배체제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서 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그들에 의해 이뤄지는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인 현상들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고려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향리층의 역할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전제하에서 이 보고서는 출발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의 보고서에선 고려 시대 향리의 역할과 지위 등의 문제를 분석해보고 고려시대 향리층이 사회구조 형성에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2. 본론
(1)고려 지방제도의 특성
지방제도는 군현제도를 기간으로 해서 중앙에서 외관을 파견하는 중앙집권적 체제를 이루고 있었다. 건국 초기에는 지방에 수령이 파견되지 못하고, 호족들의 자치에 일임되고 있었는데, 본격적으로 지방에 외관을 파견한 것은 983년 12목의 설치를 시초로 하였다. 그 뒤 몇 차례의 개폐를 거듭하다가 1018년 지방제도가 일단락되게 되었다.
전국에 약 5백개의 군현이 존재했지만, 모두 외관이 파견되지 않았다. ≪고려사≫ 지리지에 의하면, 전기에 수령이 파견된 주현이 130개인 반면, 그렇지 않은 속현은 374개나 되었다. 이들 속현들은 수령이 설치된 주현에 예속되어 중앙의 간접지배를 받는 행정조직을 이루었다. 즉, 중앙정부에서 여러 군현 중 외관이 파견된 주현에 직첩하는 행정체계를 이루고, 이들 주현이 속현을 관할하게 하였다.
그러나 주현의 수가 많아 이를 일률적으로 통제하기가 곤란했으므로, 몇 개의 큰 군현을 계수관(界首官)으로 삼아 중간기구의 기능을 띠게 하였다. 즉, 대개 14개가 되는 경(京)·도호부(都護府)·목(牧)이 계수관으로서 관내의 일반군현을 통할해 향공(鄕貢)의 진상이나 외옥수(外獄囚)의 추검 등을 맡게 하였다. 그러므로 같은 군현이라 하지만 고려의 군현제는 계수관과 일반주현, 그리고 속현의 구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