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

 1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1
 2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2
 3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3
 4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4
 5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5
 6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6
 7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학] 플라톤의 대화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1-1 왜 플라톤인가?
1-2 왜 대화록인가?
2. 본론
2-1 플라톤의 대화록
2-2 플라톤은 누구를 위해 글을 쓰는가?
2-3 대화록의 특징
2-4 대화록 속의 미와 예술
3. 나오기
본문내용
1. 들어가기

플라톤 이전의 그리스 철학은 계몽적이고 유물론적인 색채가 짙었으나, 유물론과 관념론이 철저하게 구분되지 않은 혼합된 상태에서 유물론적 색채가 우세했다고 말할 수 있다. 관념론과 관련된 커다란 두 사상가가 고대와 근세에 나타났는데, 바로 플라톤과 헤겔이다. 플라톤과 더불어 관념론 철학이 시작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플라톤의 사상을 그의 대화록을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그림) 플라톤 (B.C427-347)
1-1 왜 플라톤인가? : 철학을 지칭하는 그리스어 Philosophia 의 의미가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말은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철학이나 혹은 미학을 떠올릴 때 대부분의 사람은 ‘들어도 모르는’ 혹은 ‘누구나 다 아는 것을 아무도 알아들을 수 없게 말하는’ 학문라는 인상을 가진 경우가 많은 듯하다. 이것은 우리나라에 일본인에 의해 소개된 서양 철학이 소위 데칸쇼 철학 데카르트, 칸트,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가리킨다.
이라 불려지는 독일 관념론이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플라톤에게 가장 튼 영향을 끼친 세 명의 철학자는 피타고라스(B.C571-496) 피타고라스는 불멸하는 혼의 존재와 윤회를 믿었다. 그래서 그는 참된 지식은 감각으로 더럽혀지지 않는 순수사고에 의해 획득된 보편적이고 영원한 수학과 같은 것이어야만 한다는 헬라인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는 믿음을 확립하는데 누구보다도 기여하였다.
와 헤라클레이토스(B.C535-475) 헤라클레이토스는 세계는 끊임없이 운동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어느 것도 영원성과 확실성을 가지지 않다고 보았다.“만물은 흐른다.”는 것은 그가 한 유명한 말이다. 경험적 지식에 대한 헤라클레이토스적 회의주의는 피타고라스 하가파의 견해를 한층 강화한다.
그리고 소크라테스(B.C470-399) 소크라테스는 지식의 중요성을 역살했다. 철학을 하늘에서 땅으로 끌어내린 소크라테스는 길가에서 시장바닥에서 청년들로 하여금 진리를 깨닫게 하는 산파 역할을 한 그는 이오니아와 우주론자들의 자연에 관한 사변에서 인간 생활의 성격과 행위의 분석으로 '철학의 중심'을 옮겨놓았다. 그는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을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인간으로서 어떻게 사는 것이 훌륭하데 사는 것인가를 반성케 하였다.
으로써, 플라톤의 인간관은 피타고라스의 정화된 영혼을 인간의 본질로 여기는‘종교적 인간관’과 소크라테스의 이성적 기능을 인간의 본질로 여기는‘이성적 인간관’그리고 소피스트들의‘사회의 질서 유지를 중시하는’인간관 등을 용해시켜 새로이 정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나는 유럽 철학 전통이 플라톤(B.C427-347) 에 대한 각주로 이루어져 있다고 말하고 싶다. 이 말은 플라톤의 제자들이 엄청난 정열을 바쳐 스승의 글로부터 체계적인 사상을 이끌어낸 것이 아니라, 플라톤에게서 도처에 발견되는 근원적인 사색의 풍부함을 말하는 것이다.”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과정과 실재」 : 고트프리트 마르틴 著, 진리의 현관 플라톤, 이강서 譯, 한길사, 2004, p.16 재인용

화이트헤드의 이 말은 플라톤의 철학을 살펴본다는 것이 서양 철학 혹은 미학 사상 이해에 얼마나 큰 밑바탕이 될 수 있는지를 충분히
참고문헌
고트프리트 마르틴, 진리의 현관 플라톤, 이강서 譯, 한길사, 2004 *
데이브 로빈슨, 플라톤, 주디 그로브스 그림, 김태경 譯, 김영사, 2004 *
죠지 딕키, 미학입문, 오병남 황유경 譯, 서광사, 2005 *
G.C.필드, 플라톤의 철학, 양문흠 譯, 서광사, 1986 *
토마스 알렉산더 슬레작, 플라톤 읽기, 임성철 譯,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
플라톤, 정치가, 김태경 譯, 한길사, 2000 *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대화록, 최현 譯, 집문당, 1995
플라톤, 향연(사랑에 관하여), 박희영 譯, 문학과 지성사, 2004
박영식, 플라톤 철학의 이해, 정음사, 1992
박종현, 국가/정체, 서광사, 2004
오윤심, 플라톤 예술론과 예술과 교육, 初等敎育硏究 10집, 한국초등교육연구회, 1996
조우현, 국가/소크라테스의 변명, 삼성출판사,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