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

 1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1
 2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2
 3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3
 4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4
 5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5
 6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6
 7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7
 8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8
 9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9
 10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 -
ⅰ. 서론
1. 향가와 사뇌가에 대한 개념정리
詞腦사뇌와 향가(鄕歌)는 고등학교 교과서에는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엄연히 다른 차이점을 지닌다. 우선 균여전에서 사뇌와 향가를 같이 사용하여 그 뜻을 암시할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 손종흠 교수는 에서 향가는 고유명사라기보다는 우리만의 노래임을 밝히려는 의미가 강하고 정식명칭으로 따지자면 사뇌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손종흠 교수의 이라는 글의 일부를 발췌 한 것이다.
향가라는 말의 뜻을 지방의 노래로 보는 것도 이런 선상에 있다. 詩歌의 가치는 절대적인 것이어서 비교의 대상이 되기는 하나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다. 더욱이 문자의 체계를 달리하고 형식을 새롭게 갖춘 향가의 형성과 발전과정은 독자적인 측면이 더 강하다. 그런 의미에서, 향가란 용어가 중국 詩歌에 대한 대칭에서 비롯된 것은 사실이나 여기에는 자기를 낮추거나 겸손해서 붙인 흔적은 없으며 정감적인 뜻에서 붙여진 것도 아니다, 오히려 鄕言·鄕語·鄕札·鄕謠·鄕歌라는 말 속에는 우리나라라는 것을 강조한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의지가 내포되어 있다는 논의는 경청해야 한다. 특히『균여전』의 기록에, "唐詩가 唐나라 말로 짜여 졌듯이 향가는 鄕語로 얽어졌다"는 표현은 중국과 대등하게 우리 노래의 독자적이고 독립된 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체적이고 자주적 의지가 담긴 표현이라는 규정, 이것이 우리가 향가 발생의 논의를 여는 실마리이다.
詞腦歌의 어의를 푸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초기 향가연구자들은 사뇌의 의미해석을 이 말이 향찰이라는 전제 아래 시골이라고 내린 바 있다. 그러므로 사뇌가는 시골노래 곧 향가의 音借式 향찰 표기인 셈이다. 그러나 『균여전』의 각주에서 언급한 바 "意精於詞 故云腦"를 좀더 적극적으로 해석하면 사뇌는 訓借로 그 뜻이 精緻해서 소중한 메시지를 담은 노래로 볼 수 있다.
물론 다른 논의도 많이 있으나 나의 생각과 가장 비슷한 의견이기에 이것으로 향가와 사뇌가의 개념정리를 하기로 한다.
ⅱ. 본론-1
향가의 본질을 밝히고 구체적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들의 개념을 밝혀 현존하는 향가 25수에 적용하려면 기본적인 향가의 개념부터 바르게 밝혀야 하기 때문에 향가와 사뇌가를 다르게 정의하고 그 개념을 하나로 보기로 한다.
그의 한 예로 사뇌가의 일반적 정의를 올바로 보는 일이 시급한데 다음은 네이버 지식인에 나와 있는 사뇌가와 향가의 정의이다.
詞腦歌사뇌가
①향가(鄕歌)의 별칭(別稱) ②신라(新羅) 가요(歌謠)의 하나. 내해왕(奈解王) 때 부르던 조래의 이름. 현재(現在) 이 이름으로 남아 전(傳)하는 유품은 없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