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

 1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1
 2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2
 3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3
 4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4
 5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5
 6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6
 7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7
 8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8
 9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9
 10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10
 11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교육
1. 구한말의 교육
1) 당시의 시대상황
1884년에 일어난 갑신정변을 계기로 개화당은 국왕의 지위를 중국의 황제와 대등한 지위로 올리려고 하였다.
이 노력은 갑신정변의 실패로 중단되었으나, 1894년 갑오개혁 때 중국의 연호를 폐지하고 개국기년을 사용함으로써 1896년 1월부터 연호를 건양으로 하였다. 이러한 조치들은 일본의 반대로 무산되고 같은 해 2월 아관파천으로 중단되었다.
1897년 2월 고종이 환궁한 후 독립협회와 일부 수구파가 연합하여 칭제건원을 추진, 8월에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쳤으며, 9월에는 원구단을 세웠고, 드디어 1897년 10월 12일 황제즉위식을 올림으로써 대한제국이 성립되었다.
제국을 성립하기까지 서로 연합하였던 독립협회와 수구파는 정체 문제로 대립하였다. 독립협회가 입헌군주제로 개혁하여야 한다고 한 반면, 수구파는 전제군주제를 유지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대립은 1898년 절영도(부산 영도)를 러시아에 조차하는 문제로 격돌하였다. 독립협회는 조차를 외국이 침략하는 첫 단계라고 판단하고 1898년 3월 10일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1만여 명이 참가한 만민공동회를 서울 종로에서 열어 절영도 조차 요구 반대, 일본의 국내 석탄고 기지 철수, 한로은행 철거 등을 요구하고 제국의 자주독립 강화를 결의하였다.
이를 계기로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가 철회되고 일본도 국내의 석탄고 기지를 되돌려주었으며, 러시아와 일본은 한국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니시-로젠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로써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세력이 균형을 이룸으로써 자주독립국으로서의 실천을 이룩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수 있었다.
독립협회는 입헌군주제를 계속 추진하여 1898년 11월 2일 중추원신관제를 공포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발전적인 계획은 수구파들의 모략으로 좌절되었다. 그들은 독립협회가 의회를 설립하는 것이 아니라 고종을 폐위하고 박정양(朴定陽)을 대통령, 윤치호를 부통령으로 한 공화제를 수립하려 한다는 전단을 뿌렸다.
이에 고종은 경무청과 친위대를 동원하여 독립협회 간부를 체포하고 개혁파 정부를 붕괴시킨 다음 조병식을 중심으로 한 수구파 정부를 수립하였다. 여기에 자주 독립세력을 꺾어버리는 것이 이롭다고 판단한 일본이 수구파에 가담, 독립협회의 운동을 탄압하도록 권고하고 이를 고종이 받아들여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를 강제해산함으로써 독립협회와 수구파의 싸움은 수구파의 승리로 끝났다.
수구파 내각은 1899년 8월 17일 대한국국제를 제정·공포하였다. 이에 따르면 국호는 대한제국이고 정체는 전제군주제이다. 수구파 정부는 국제열강의 세력균형을 이용하여 실력을 기르는 데 힘쓰기보다는 친러적인 경향이 강하였다.
이를 지켜본 일본은 러시아와의 일전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러일전쟁을 준비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를 안 정부도 1904년 1월 국외중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러한 중립선언을 무시하고 러일전쟁이 시작되자 서울을 점령하고 2월 23일 대한제국을 위협하여 한일의정서를 체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