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

 1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1
 2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2
 3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3
 4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4
 5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5
 6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6
 7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7
 8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8
 9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구 및 실물 자료를 통한
사회과 교재 재구성
4학년 1학기
1. 우리 시도의 모습
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도의 모습
① 지도를 알아보자 (3차시)
◎재구성 단원◎
1. 주제 선정 배경
초등 사회과 기능 영역의 목표는 지도, 연표, 도표 등을 통한 정보 수집활용 기능, 이른바 도해력 기능을 포함한다. 도해력은 인간의 의사 소통의 주요한 방식 중의 하나로, 시각자료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자료를 읽어 낼 수 있으며, 획득한 정보와 자료를 시각자료(지도, 연표, 도표)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능을 뜻한다. 도해력 기능교육의 핵심은 지도학습이다. 초등학교에서의 지도학습은 무엇보다 학생들로 하여금 지도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며 생활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밀한 자료로 다가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지도를 읽기위한 지도요소(방위, 축척, 기호, 등고선 등)의 개념을 주입시키고 지식암기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4학년 1학기 교과서에 나오는 지도학습의 내용은 4학년 아이들의 인지발달단계에 적절하지 못하며 실려있는 지도자료가 교사와 아이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지 못하여 사회책, 사회과 부도와 경기도의 생활, 총3권의 책을 정신없이 들춰봐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초등학교에서의 지도학습은 궁극적으로 지도 속의 정보를 최대한 알아내어, 지리적으로 사고하고 지리적으로 보는 안목을 기름으로써 지역의 지도를 통해 지역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능중심의 학습이 되어야한다.
2. 재구성이 필요한 이유
(1) 등고선을 이해하기 위한 교구자료의 문제점
등고선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된 고구마는 아이들이 교실에서 직접 칼로 자르기에는 위험요소가 많다. 또한 등고선의 특징, 즉 높낮이나 굴곡을 표현하기에 적당한 고구마를 고르기도 쉽지 않다. 그리고 등고선 수업을 한 후 고구마를 처리하는 일 또한 만만치 않다. 그래서 현장에서 선생님들이 많이 재구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선택해보았다. 지점토를 이용하여 직접 산모양을 만들고 자신이 만든 산의 등고선을 직접 그려보는 활동으로 다양한 산모양과 등고선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또 하나는 기존에 그려져 있는 등고선이 산으로 만들어졌을 때 어떠한 모양이 나올지 상상해보고 직접 실현해보는 작업을 선택하였다. 아동의 시선으로 마음대로 시선의 위치를 바꾸어 산의 모양을 평면도, 단면도로 사고하기에는 아직 힘들것이라 생각되어 직접 만들어보고 관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축척학습의 난이도
4학년 1학기에 축척학습은 많은 교사들이 지도상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있는 부분이다. ‘축척의 이해를 통한 지도읽기 능력 획득’이라는 축척학습의 본래 목표가 ‘대축척, 소축척 지도의 구분과 특징 이해’라는 학습 내용으로 가르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는 잘 쓰지 않는 이 낯선 용어와 축척을 이용한 실제거리구하기 문제까지 제시되고 있어 아이들의 지도읽기 기능을 오히려 저해하고 억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① 대축척지도, 소축척지도의 개념상의 어려움
② 대축척지도, 소축척지도의 특징 비교 및 지도의 차이점구분이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