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극의 역사 왜곡 논란

 1  사극의 역사 왜곡 논란-1
 2  사극의 역사 왜곡 논란-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극의 역사 왜곡 논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극의 역사 왜곡 논란
사극은 역사적 인물을 중점으로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작가가 재해석하여 풀어 이야기한 하나의 ‘극’이다. 사극이 풀어나가는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배경지식으로 있었던 친숙한 이야기여서 이해하기 쉽고 상상 속에 머물렀던 역사가 실제로 시각화 되어 흥미를 이끌기도 한다. 또 현대와는 색다르고 박물관에서만 볼 수 있었던 볼거리가 텔레비전 속에 등장해 시청자들에게 보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요즘엔 선덕여왕을 주제로 한 드라마가 인기를 끄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장금, 바람의 화원 등 과거에도 심심치 않게 사극 열풍이 불었고 지금도 온가족을 한 자리에 모이게 하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이제 사극은 드라마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시청자들에게 사랑받는 드라마의 한 분야가 되었다.
요즈음에는 사극이 역사 왜곡을 하였다는 비판의 소리도 들리고 있다. 역사 왜곡 논란은 이제 새로운 것이 아니라 모든 사극의 통과의례가 되어버린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사극이 과거 역사의 기반을 두고 만들어진 드라마이기 때문에 픽션의 요소가 너무 지나치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나의 생각은 사극은 하나의 ‘극’이기 때문에 역사와 다른 부분에 대해 관대하게 수용하고 ‘극’으로서 사극 자체를 즐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사극을 보는 목적과 이유는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이지 역사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 방송국의 목적은 국민들에게 자신들이 만들어낸 창조물, 드라마나 오락 프로그램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재미를 선사하는 의무를 가진 하나의 공기업이다. 시청자 역시 텔레비전을 통해 재미를 얻기를 바란다. 나는 지금 현재 방영되는 여러 사극들은 이러한 양측의 이해관계가 고려되어 모두 win-win하는 드라마라고 생각한다.
나는 물론 사극이 역사 그대로 이야기를 풀어나가지 않는 면이 있어서 시청자에게 역사 사실에 대한 혼란을 가져와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이러한 단점만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했던 역사에 대한 흥미를 환기시켜주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에서 방영한 사극이 이슈가 되면 실제 역사적 인물의 대한 관심도 증폭되고 역사학자들이 사극과 실제 역사의 차이점을 콕콕 끄집어준 기사나 의견 역시 이슈화된다. 즉, 모든 사람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사극 열풍은 시청자들에게 잘못된 사실이 포함된 역사에 흥미를 이끌어 줌으로서 실제 과거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환기 되고 이 실제 역사에 대한 관심은 인터넷의 발달로 이루어져 접하기 쉬워진 역사학자의 의견에 대한 흥미로 이어져 이를 통해 실제 역사를 알기 쉬워졌다. 예를 들자면 신윤복이 남자인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실제로 얼마나 있을까? 저번의 강의시간에 발표자께서 극단적인 예로 한 엄마와 아이의 이야기를 했는데 이런 상황이 모든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모자는 바람의 화원을 통해 역사적 인물인 신윤복에게 흥미가 이어졌고 그 흥미는 직접 신윤복의 그림을 보고자 하는 흥미로 이어졌다. 이 모자는 전시회장에 들어가지 전에 신윤복이 여자라고 확신했지만 전시회장에 나온 후에는 신윤복이 남자라는 것과 더 나아가 그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어떤 그림을 그렸는지 알게 되었을 것이다. 이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은 다름 아닌 바로 사극이었다.
하지만 모든 시청자들이 사극에 흥미가 역사적 사실에 대해 흥미로 이어지는 것은 완벽한 인과관계가 아니다. 사극이 재미있다고 해서 실제 역사에 대해 흥미 있고 적극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사람들도 물론 다수가 있다. 그래서 사극이 방영될 때 방송사측에서는 사극 방영 바로 전에 사극 속에 픽션의 요소가 들어 있음을 공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전에 우연히 ‘바람의 화원’을 본적이 있다. 바람의 화원은 신윤복의 성에 대해서 조금 지나친 픽션의 요소가 포함된 사극이었다. 그 때 그 드라마는 방송 전에 드라마는 픽션의 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하였다는 것을 공지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이런 방송국의 작은 배려가 역사 왜곡 논란의 하나의 해결책이 된다고 생각한다.
다른 방안으로는 방송국 제작사가 더욱 적극적으로 역사의 사실을 알리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 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16부작의 신윤복의 대한 사극을 편성하였다면 사극이 종방 후에 1부나 2부정도 특별판을 제작하여 18부를 계획하는 것이다. 실제 앞의 16부작의 내용 중 실제 사극과 일치하는 부분은 역사적 증거물이나 권위자의 말을 더해 사극과 적절하게 편집하여 근거를 제시하여 지지하고 사극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역사적 증거물이나 권위자의 말을 더해 실제의 역사 사실을 알려주어 바로잡는 것도 시청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재미거리가 될 것이다.
또 앞으로 역사학자들이 픽션의 요소가 가미된 사극을 바라보는 관점은 비판하는 입장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사극을 하나의 ‘극’으로 받아들이고 역사 왜곡이란 단어를 쓰면서 강력하게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와 다른 역사적 사실을 알리고 일깨우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극을 통해 시청자의 알고 싶은 욕구가 생겼을 때 역사학자들은 역사적 사실을 알려줄 의무가 있다.
앞으로는 역사 왜곡 논란은 잠재워지지 않을 것이다. 역사 왜곡 논란이 계속적으로 일어난다고 해서 사극이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방송국의 입장에서는 역사서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다큐멘터리보다는 창조적 요소를 가미한 사극이 시청자들의 흥미를 이끌고 모든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사극의 제작자는 역사와 다른 부분은 시청자에게 알려주어야 할 권리가 있고 역사학자는 자기가 알고 있는 정확한 지식으로 올바르게 시청자에게 알려줄 의무가 있다. 또 시청자는 사극 자체를 즐길 권리가 있고 실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도 알 권리가 있다. 사극 제작자와 역사학자가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에게 모두 이익에 되는 방법을 강구하여 시청자가 사극을 즐기고 더 나아가 역사 지식까지 습득할 수 있게 사극의 모든 관계자가 지혜롭게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