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

 1  [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1
 2  [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2
 3  [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3
 4  [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기타
  • 2005.07.27
  • 4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민속학]전통문화-창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소개의 글
2. 전통문화를 찾아서 - “창호지” 편
3. 참고자료
본문내용
창호지, 한지의 한가지로 문을 바르는 종이라고 국어사전에는 나와 있다. 언제부터인가 창호지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유리로 바뀌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창호지만큼 우리 생활에 밀접한 것은 없었다.
옛날에는 한지붕 밑에 여러 세대가 살았다. 우선 가장 가운데 안채에는 안방마님과 대감이 기거하는 방과 거실이 있었고 건너방에는 아들내외, 그리고 사랑채에는 종이나 나그네가 쉬어가는 거실겸 놀이방이 있었다.
안채의 가운데에는 널찍한 마루가 보통이고 마루 가운데에는 쌀을 담는 뒤주가 대개는 있고 마루 천정 위에는 옥수수를 통째로 말린 것이나 수수등을 달아놓아 추운 겨울에 볶아 먹거나 다음해에 씨앗으로 사용했고 마루의 천정은 굵은 석가래로 대들보를 양타래로 지지세워 집의 균형을 이루었다.
마루를 나서면 넓은 마당이 나타나고 마당이 끝나는 곳에는 다시 사랑채와 이어진 대문사이가 되고 대문을 나서면 다시 넓은 바깥마당이 펼쳐진다. 바깥마당과 같이하는 사랑채는 때로는 동네 사람들의 놀이터로 장기나 골패등 노름도 행해지고 추석이나 명절에는 윷놀이도 벌어지는등 놀이방으로서 구실을 다하였다.
요즈음 나오는 노래방이나 유아방등은 바로 이런 옛날의 “방”에서 나온 것 같은데 지금 신세대가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어쩌면 자기식으로 사는 신세대가 자신도 모르게 구세대를 따라가는
참고문헌
3. 참고자료
제가 작성한 아래 내용의 전통문화에 관한 글을 방문하신 이사이트에서 계속 찾아 보시거나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참고 자료란에 목록이 있고 “ 전통문화” “민속” 등으로 검색하셔도 나올 수 있습니다. 기타 원하시는 검색어 “창호지” “호미”등으로 검색하셔도 됩니다.
1) 쟁기
2) 낫
3) 호미
4) 가래
5) 삼태기
6) 쟁기
7) 갈퀴
8) 골무
9) 삽
10) 삿갓
11) 망태기
12) 도리깨
13) 작두
14) 화로
15) 인두
16) 키
17) 버선
18) 비녀
19) 창호지

하고 싶은 말
우리 고유의 문화를 간직하고 숨결이 어렸던 손에서 발에서 조작이 되었던 공구나 소도구, 농기구들이 있다. 지금은 잊혀져 가지만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이것들을 가지고 농사도 짓고 무언가 만들어 동전하고도 바꾸었던 옛것들이다. 이 모든 자료를 정리해 보았다. 잊혀져 가는 전통문화가 되새겨지고 조상들의 얼을 느껴보시기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