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

 1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1
 2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2
 3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3
 4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4
 5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5
 6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6
 7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7
 8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8
 9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9
 10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10
 11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11
 12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2페이지 / hwp
  • 1,400원
  • 4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유부인에 대하여 영화 자유부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유부인
60년대의 한국 사회는 전 근대적인 요소와 근대화적인 요소가 혼재되어 있던 시기로 전근대적인 요소인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권위주의적인 사회원리가 잔존하는 가운데 근대화를 통한 사회의 변화라는 딜레마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졌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60년대의 여성들의 위치는 허약한 남성 가부장을 대신하여 생존과 생계를 동시에 걸머지어야 했으며, 이렇게 여성들은 자신이 속한 생활환경 속에서 가족의 삶을 꾸려가기 위해 사회에 직접 참여해서 새로운 사회공간을 개척하고 창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공간은 여성들이 그 동안과는 전혀 다른 경험을 하게 되는 곳이고, 새로운 것들을 보고 생각하며, 자신의 욕망을 표출할 수 있는 곳이었다. 또한 육아와 가사노동에 한정되어 있었던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이제는 남성의 영역이라고만 여겨왔던 직업 이라는 영역까지 그 폭을 넓히게 된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 60년대는 봉건사회에서 육아와 가사노동이라는 사적 영역에만 종사해 오던 여성이 근대화 이후 남성만이 전담해 오던 공적 영역에 합류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60년대 한국 영화는 그러한 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그려내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이 시기의 영화라는 매체 속에서 여성들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근대화, 서구화, 도시화, 산업화의 바람이 몰고 온 갈등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 속에서 매체 환경이 다양하지 못했던 당시의 상황을 돌이켜 보았을 때 대중에게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던 영화가 당시 매체 속에서 재현된 여성의 모습을 살펴보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었다. 이러한 판단 아래 당시의 영화들 중에서도 최고의 흥행영화이자 사회적 논란을 가져왔던 “자유 부인”이 당시의 시대적 관점을 가장 잘 알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했으며 text분석의 방법을 통해서 당시 사회에서 강요되던 여성의 위치와 매체 속에 왜곡된 여성의 sexuality 문제 영화 “자유부인” 속에서 읽어내고자 한다.
자유부인은 현직 교수와 그의 부인이 벌이는 일탈의 감정과 애정행각을 다룸으로서 당시의 전통적인 부부상에 일대 충격을 던진 작품이자 전환기적 사회상을 한발 앞서 묘사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파격적인 스토리 전개와 충격적인 여성 묘사(당시 사회의 보편적인 기준으로 봤을 때)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당대 저명 인사들간의 논쟁을 불러 일으킴으로서 더욱 유명해진 작품으로, 당시 서울법대 교수 황산덕과 작가인 정비석은 대학신문과 서울 신문을 통해서 치열하게 논쟁을 벌임으로서 자유부인을 더욱 세간의 화제 거리로 만들었다. 비록 그들의 논쟁이 여성을 바라보는 왜곡된 시각에 대해서가 아닌 작가의 표현의 자유 문제가 주된 대상이었기에 다소 아쉬운 면이 있었지만, 그만큼 당시 지성인이라는 사람들도 여성의 바라보는 시각에 문제가 있음을 반증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자유부인이라는 원작 소설을 소재로 한 이 영화가 당시의 여성에 대한 시대적 관점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으며 여성이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되게 남성의 구조화된 시각으로 여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폭발적인 관객 동원을 한 메가 히트의 영화라는 점에 주목하였으며 이후에도 30여 년간 계속적으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점점 강화되어 가면서 리메이크 되었다는 사실을 보면서 이 영화가 매체 속에서 왜곡되어 재현된 여성의 모습을 바라보기에 적절한 소재라고 보았다.
▶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