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

 1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1
 2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2
 3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3
 4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4
 5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5
 6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6
 7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7
 8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8
 9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9
 10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10
 11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1페이지 / hwp
  • 1,400원
  • 42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의 이해 - 문인답사 보고서 -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해조의 생애
3. 신소설의 개념 및 특성
4. 이해조의 작품세계와 「자유종」분석
1. 들어가는 말
이해조는 한국의 대표적 신소설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도 이인직 문학에 비해 이해조 문학의 탁월한 우수성에 대한 검증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임화의 “이인직에 의하여 개척되고 최찬식에 의해서 대중화된 신소설의 기초를 확립”한 작가라는 평가 임화, 「개설 조선신문학사」, 조선일보, 1940. 4. 27.
대로 이해조는 이인직 문학의 단순한 연장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러나 그는 30여편에 이르는 가장 많은 신소설을 남김과 동시에 개인적인 체험을 신소설의 형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형상화시킨 신소설 작가이면서 판소리계 소설을 신소설로 개작 「옥중화(獄中花)」(‘춘향전’을 개작), 「강상련(江上蓮)」(‘심청전’을 개작), 「토(兎)의 간(肝)」(‘토끼전’을 개작) 등이 있다.
하고, 번안 신소설 「철세계(鐵世界)」, 「화성돈전」, 「앵속화 제조법」등이 있다.
을 통해 신소설의 초석을 굳게 다져 놓은 작가이다. 그는 “소설이라 하는 것은 매양 빙공착영(憑空捉影) 허공에 의지해 그림자를 잡는다는 뜻으로, 허망한 언행 또는 이루어질 가망이 없음을 비유한 한자성어.
으로 인정에 맞도록 편집하여 풍속을 교정하고 사회를 경성하는 것이 제일 목적이다.” 이해조, 「화의 혈」후기 中, 매일신보, 오거서창, 1918.
라고 하여 교훈성과 흥미성을 소설 제일의 목적으로 보는 등 나름대로의 소설관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특히 개화기의 우리 문학은 문학사에서 전례 없는 개혁의 시기였으며 민족사의 격동과 전환의 시기였다. 망국의 불운 속에서 과거 봉건적 체제와 유교적인 가치관을 과감하게 청산하고 새로운 사조 속에 개혁을 수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일대 전환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애국계몽기에서 1910년대 초에 걸쳐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한 이해조의 문학 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하는 것은 한국 신소설의 올바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길일 것이다.
본 발표문에서는 이해조의 생애와 작품세계, 그리고 그의 대표작 「자유종」을 통해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여성과 교육, 두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이해조의 생애
이해조의 호는 동농(東濃), 본관은 전주이다. 조선조 16대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4자 복평군(용성대군의 계자)의 10대손임이 밝혀졌다. 그는 아버지 이철용(李哲鎔)과 어머니 청풍 김씨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은진 송씨와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다. 이해조는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 121번지에서 1896년 2월 27일 태어났다. 그는 호(號)를 열재(悅齋) 또는 이열재(怡悅齋), 동농(東濃)이라 하였고, 이밖에 선음자(善飮子), 하관생(遐觀生), 조춘자(措春子), 신안생(神眼生), 해관자(解觀子), 우산거사(牛山巨士) 등 많은 필명으로 작품을 발표해 왔다.
그는 어려서 고향 포천을 떠나 서울로 이사한 후 대부분 익선동(임낭골), 와룡동, 도렴동 등 사대문 한복판에 살았다. 그의 작품 속의 배경도 자연 서울과 경기 일원에 두고 씌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해조는 거대한 몸집에 신장도 유난히 컸으며 얼굴만은 마마를 앓은 흔적이 있었다고 그의 후손들이 증명하고 있다. 성품이 자상하여 누구든지 친밀감을 갖고 접근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예기(藝技) 노래ㆍ춤ㆍ그림ㆍ글씨ㆍ시문(詩文) 따위 예능을 익혀 손님을 대하는 기생(妓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