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

 1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
 2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2
 3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3
 4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4
 5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5
 6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6
 7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7
 8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8
 9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9
 10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0
 11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1
 12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2
 13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3
 14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4
 15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5
 16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6
 17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7
 18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8
 19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19
 20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동남아시아 불교의 인간 발달적 특성
목차
Ⅰ. 서론
Ⅱ.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특징 및 차이점
1. 대승불교
2. 소승불교
3. 차이점
Ⅲ.동남아시아불교
1. 기원
2. 생명의 기원과 종교문화
3. 인간이해와 종교문화
4. 탄생과 종교문화
5. 성장과 종교문화
6. 결혼과 종교문화
7. 고난과 종교문화
8. 죽음과 그 이후와 종교문화
Ⅳ. 결론
Ⅰ. 서론
우리나라의 불교와는 사뭇 다른 동남아시아 불교를 연구하며 종교의 힘을 다시금 느끼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몰라도 최소한 동남아시아에서는 자신이 믿는 종교, 즉 불교가 삶과 깊게 연관되어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가 있었다. 한 행동의 각각의 의미가 숨겨져 있다는 것을 보며 유교와 흡사 비슷하다고 느끼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동남아시아지역이 너무나도 넓은 관계로 인하여 한 나라를 택하여 조사하였으므로 한나라에 국한되어 있다. 그리고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에 대해 간략하게 소해 한후 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를 세세하게 조사하지 못하였으며, 의식에 있어서는 각 나라의 특성을 살펴보지 않고 한 나라의 특징을 다루는데 그쳤다.
그러나 한 나라를 자세히 연구함으로서 동남아시아의 성격을 알고자 한다.
Ⅱ.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특징 및 차이점
1. 대승불교
소승불교는 남방불교라고도 하는 데 자기 자신의 해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북방불교보다는 좀 더 계율을 지키는데 신경을 쓰는 편이다. 현재 동남아시아의 베트남, 미얀마 등지가 그런 쪽에 속한다. 즉 석가의 입멸 후 100년대 이후에 인도에서 성립된 전 통적 이고 보수적인 불교로, ‘소승’이란 작은 수레라는 뜻이며 개인의 구원만을 목적 으로 함을 비유하여 소승이라고 하였으며, 대중의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불교를 대승불 교라고 한다. 교단은 상좌부와 대중부로 나누어지고, 다시 각기 세분화되어 18부파로 이 루어졌다고 전해진다(B.C 3~ B.C 2세기). 각 부파는 각각 아비달마로 불리는 교리체계를 정비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상좌부계의 설일체유부는 면밀한 교리를 발전시켜 후세 에 큰 영향을 끼쳤고, 설일체유부의 문헌은 주로 한역에 의해 전해졌다. 오늘날 동남아시 아에 퍼져있는 불교는 스리랑카 상좌부의 흐름을 땄고, 팔리어로 씌어진 성전을 갖고 있 다. 대중부계에는 현존하는 문헌이 거의 없다.
2. 소승불교
인도에서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나 일본쪽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 대승불교는 자신의 깨우침도 중요하지만 깨우친 이후의 중생제도에 많은 중점을 두는 교파이다. ‘대승’이 란 많은 사람을 태우는 큰 수레라는 뜻으로, 출가재가를 가리지 않고 일체중생을 구제하 는 큰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교리는 이상세계, 곧 피안에 들 수 있는 힘을 지니면서도 이 승에 남아서 중생의 제도에 힘쓰는 ‘보살’을 인간의 이상상으로 하며, 보살은 중생제도 를 발원하여 6바라밀의 이타행을 실천해야 한다. 그 기본은 ‘반야’의 지혜로서, 이에 의하여 모든 현상의 공, 즉 무실체성을 비추어 보는 것이 깨달음이고, 또 부처의 자비에 의하여 이 깨달음은 만인의 것이 된다는 것이다. 《반야》《법화》《화엄》등의 불경이 나온 후, 3세기에 용수가 ‘공’과 ‘중도’라는 대승불교의 근본사상을 전개하였고, 5세 기에는 ‘유식사상’이 완성되었으며, 7세기에는 범신론적 밀교가 성립하게 되었다.
3. 차이점
B.C 1세기경에 나타난 대승불교는 서북인도계통의 부파불교가 단지 개인의 해탈만을 추구하는 이기주의적 경향이 강하고, 아비달마불교가 경전의 복잡한 주석이나 논의를 주 로하여 생명력 없는 이론 불교로 치우친 결과 대중과의 소외현상이 나타나자 이를 작은 수레라 비판하고 대중부의 남인도계통을 중심으로 불타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자는 기 치하에서 일어난 현실적, 대중적, 생명적인 종교운동이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