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읽기 이론

 1  마음읽기 이론-1
 2  마음읽기 이론-2
 3  마음읽기 이론-3
 4  마음읽기 이론-4
 5  마음읽기 이론-5
 6  마음읽기 이론-6
 7  마음읽기 이론-7
 8  마음읽기 이론-8
 9  마음읽기 이론-9
 10  마음읽기 이론-10
 11  마음읽기 이론-11
 12  마음읽기 이론-12
 13  마음읽기 이론-13
 14  마음읽기 이론-14
 15  마음읽기 이론-15
 16  마음읽기 이론-16
 17  마음읽기 이론-17
 18  마음읽기 이론-18
 19  마음읽기 이론-19
 20  마음읽기 이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마음읽기 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마음읽기 이론
- 목 차 -
1. 마음 읽기 이론에 대한 정의 및 개요
2. 마음이론의 발달
1) 언제부터 마음현상의 이해가 가능한가?
2) 마음이론의 발달과정은 어떠한가? (0~1세/1~3세/3~5세)
3) 마음이론 발달의 개인적 차이
3. 전조
1) 공동지시
2) 공동행위
3) 공유관심기제
4) 가장놀이
4. 자폐와 마음읽기 이론
5. 자폐에게 마음읽기 이론 결핍 시 나타나는 문제
6. 자폐에게 마음읽기 이론 결핍으로 나타나는 문제들(실례)
7. 마음읽기 이론의 훈련방법과 실제
1) 사회성 지원훈련
2) 인식적 방법
※ 참고문헌
※ 부록 - 실험연구 정리
우리들의 사고를 지배하는 관념 체계 즉, 이론은 어느 시대, 어느 장소를 막론하고 존재하여 왔고 또 지금도 존재한다. 그러한 관념 체계는 그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의 틀이 되는 것이기에 우리들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념 체계는 세계를 보다 새롭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한하는 역기능도 하기에 사고의 진전을 막기도 한다. 그래서 Eisner(1985)는 이론의 양면성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기를 이론은 자산인 동시에 부채라고 표현한 바 있다.
이론은 관련 분야의 학문이 발달함에 따라 보다 발전적으로 진보되는 것이다. 물론 새롭게 출현하여 주목을 받는 이론이라고 하여 반드시 옿은 이론이라고 말 할 수는 없다. 다만 전 시대의 관념 체계를 새롭게 하여 다른 시각으로 세계를 조망할 수 있도록 설명력을 제공해 주는 이론은 널리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론의 발전적 진보 과정은 자폐성 장애에 대한 연구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Kanner(1943)가 자폐증을 발견한 것은 소아정신 의학사에 매우 획기적인 일이었다. 그 후 Rutter(1968; 1972)는 언어장애론을 주장하여 자폐증 연구사에 또 다른 획을 그음과 동시에 자폐증 연구의 흐름을 바꾸었음은 물론 다른 연구자들로 하여금 자폐성 장애아동의 언어문제에 관한 연구를 하도록 하는데 촉매 역할도 하였다. 그러나 언어장애에 관한 연구만으로는 자폐성 장애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할 수 없었기에 자폐성 장애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가정을 설정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Rutter, 1983). Fein 등 (1986)에 의하면 자폐성 장애의 주요 증상은 사회성, 즉 대인관계에서의 장애라고 하였지만, 이러한 장애가 무엇에 기인하여 발생되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하였다.
1. 마음읽기 이론에 대한 정의 및 개요
Rutter의 제안에 따라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자폐성 장애아동이 보이는 가장 기본적인 장애라고 할 수 있는 사회성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지금까지 이러한 연구를 지배해 온 이론은 다름의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첫째는 감정인지 장애설로서, 자폐성 장애아동은 타인의 감정 상태를 인지하는 능력이 없다는 가설이다. Hobson(1986)은 정신연령이 같은 자폐성 장애아동 집단과 비 장애아동 집단을 비교 연구한 바 있다. 연구 방법에서 사용된 수행 과제로는 그림이나 사진에 나타난 사람의 얼굴 표정과 비디오에 제시된 사람의 몸짓, 목소리, 상황을 서로 알맞게 연결시키는 것이었다. 그 결과 자폐성 장애아동 집단이 비 장애아동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 참여한 자폐성 장애아동들은 그렇다고 해서 지각장애를 수반한 아동들도 아니었으며, 사물의 다른 점을 인지하는 능력이 없는 아동들도 아니었다. 그래서 Hobson(1986)은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자폐성 장애아동이 다른 사람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서로 다른 감정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 같다고 하였다.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의적인 대인관계(affective human relationship)가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폐성 장애아동의 일차적 장애는 타인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Hobson, 1989; 1993).
둘째는 [마음읽기 이론(theory of mind)]설로서, 자폐성 장애아동은 타인의 마음상태를 추론하는 능력이 없다는 가설이다. Baron-Cohen등(1985; 1986)에 의하면 자폐성 장애아동의 대인관계 장애는 타인의 마음상태를 추측할 수 없는 것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그들이 말하는 타인의 마음 상태를 추측하는 능력은 Premack과 Woodruff(1978)가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진 [마음읽기이론]과 같은 것으로서, 자폐성 장애아동은 그러한 [마음읽기이론]에 장애가 있다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