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치료 조현병

 1  집단치료 조현병-1
 2  집단치료 조현병-2
 3  집단치료 조현병-3
 4  집단치료 조현병-4
 5  집단치료 조현병-5
 6  집단치료 조현병-6
 7  집단치료 조현병-7
 8  집단치료 조현병-8
 9  집단치료 조현병-9
 10  집단치료 조현병-10
 11  집단치료 조현병-11
 12  집단치료 조현병-12
 13  집단치료 조현병-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집단치료 조현병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집단치료(조현병)
목차
Ⅰ. 서론
1. 집단치료의 정의
2. 집단치료의 역사적 배경
3. 집단치료의 일반적 특성
4. 집단치료의 장·단점
Ⅱ. 본론
1. 기관소개
2. 조직도
3. 프로그램
4. 인터뷰
5. 사례
6. 용인정신병원 현장의 실천기법
7. 집단치료와 사회복지 가치관의 연관성(윤리적 이슈)
8. 현장의 윤리적 이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을 보이며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이다.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기도 하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적 접근에 뚜렷한 진보가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약물 치료가 치료의 중심이지만, 정신 치료를 포함한 정신사회적 치료 접근이 통합될 때 더 나은 치료 성과를 가져온다고 보고되고 있다. 조현병으로 첫 입원 치료 후 5년에서 10년 추적 관찰한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10~20% 정도의 환자들이 좋은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있다. 절반 정도의 환자는 결과가 좋지 않아 반복적인 입원, 증상의 악화, 우울 삽화의 경험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조현병 환자가 좋지 않은 경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20~30%의 환자들은 어느 정도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31&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본 조는 조현병의 정신 치료요법 중에서 집단 정신치료 프로그램에 참관하고, 집단치료 이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1. 집단치료의 정의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집단치료란 한 사람의 치료자가 비슷한 병의 증세를 가진 4, 5명 이상의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심리적 갈등을 명료화하며 문제행동을 수정해가는 일련의 집단면접을 말한다. 보다 나은 자기 이해를 통해 심리적 긴장을 감소시켜 치료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비적응적 태도의 변화 및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 직접적 관심을 두고 있다(네이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73062&cid=42120&categoryId=42120
즉, 내재한 갈등을 집단내의 대인관계 속에서 표현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게 하고, 통찰을 얻어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의 긍정적 개선을 도모하며, 상호작용을 통하여 변화와 성숙이 가능해진다(구혜영, 2011). 구혜영,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2판』, 2011
2. 집단치료의 역사적 배경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5판』에 의하면, 1905년 미국 내과 의사인 J. H. Pratt가 결핵병동 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에 대한 교육과 치료방법의 교육을 위하여 집단치료를 시행한 것이 처음이다. Pratt는 폐결핵환자의 심리적 건강과 신체적 경과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병보다 사람을 치료하고자 했다. 그의 치료법에는 가정방문, 환자들의 일기 쓰기, 그리고 약 25명의 폐결핵 환자들의 매주 모임이 포함되었다. 모임을 통하여 일기를 조사하고 체중을 확인하고 성공적인 환자들이 증언을 통해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응집성과 상호지지가 생겼고 이것은 환자에게 매우 흔한 우울과 소외감을 이기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여러 정신과 의사들에 의하여 집단정신치료는 성장하게 되었고 1930년대 정신분석이론을 집단에 적용시킨 정신분석적 집단치료는 Wendor와 Schilder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다. 이후 정신연극의 J. L. Moreno가 1931년 집단치료란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 후 개인정신분석이론을 집단에 결부시킨 그룹 정신분석적 심리치료와 집단의 결합을 중시한 K. Lewin의 집단역동이론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재 집단정신 치료적 활동으로 지속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들을 위한 금주동맹과 정신병원 퇴원환자의 모임인 회복동지회, 그리고 A. A. Low와 M. Jones가 정신병동내의 구성원은 모두 치료자적인 입장이 되어야 한다는 치료적 공동사회 등이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후 인간의 고독감을 해소하고 자발성을 되살리는데 역점을 둔 실존주의적 집단치료와 지도자 및 치료자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 집단이라는 집단치료기법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훈련 집단 활동은 비정신과 의사들도 지도자가 되어 참여하고 있으며 치료효과보다 재교육적 의미가 크다(최혜림 장성숙, 2008).
한국의 집단정신치료는 1960년대 초부터 소개되었는데 군 정신병원에서 그 필요성이 강조되어 정신과 치료의 기초가 되었다.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정신과 병동에서 꾸준하게 실시되어 왔으나 정신과 의사들의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며, 정신학계에서는 개인 정신치료에 버금가는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집단정신치료가 대표적인 인물이나 학파 중심으로 형성, 발달과정을 거치지 못한 것에 원인이 있다. 또한 정신질환을 치료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약물치료를 가장 중요시하게 됨으로 상대적으로 역동정신의학에 기반을 둔 정신치료와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관심은 더욱 줄어들게 되었다. 최근에는 정신치료분야에서 의사가 하는 치료보다 여러 가지 명칭 아래 비의사가 하는 상담이 증가하고 있는 것도 원인이 된다. 한국에서는 아직 집단지도, 집단상담, 집단치료,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경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지 않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 이후 정신보건체계가 기존의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중심으로 변하고 치료위주에서 사례관리와 재활위주로 전환되었다. 또한 정신보건 서비스가 개개인의 진료보다는 지역사회 전체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교육, 예방 및 정신건강증진 등에 중점을 두면서 지역사회의 참여를 중요시하게 되었다(최혜림 장성숙, 2008). 최해림 장성숙 옮김,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5판』, 200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