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

 1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1
 2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2
 3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3
 4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4
 5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5
 6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6
 7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7
 8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8
 9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 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의 경향

2. 한시에 나타난 현실주의 양상들
2. 1. 실학파 문인의 현실주의
2. 2. 위항(委巷)층 문인의 한시
2. 3. 진보적 문인의 한시

3. 서사시로의 발전
본문내용
1. 조선 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의 경향

조선 후기는 봉건 사회 해체기이자 새로운 경제사회 구조를 지향하던 시기이다. 우리의 문학 또한 그러한 시대 분위기에 부흥하여 민감하게 반영하였다. 우리 문학사의 내재적인 자기발전 과정에서 성장해온 현실주의가 문학의 여러 방면에 확대되어 훨씬 풍부하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예술에까지 두루 걸쳐서 성장한 것은 전대에 없는 일이었다.
이러한 성향은 판소리 소설이나 서민가사ㆍ사설시조ㆍ설화ㆍ민요 등의 민중 문학의 성장과 확산에서 확인할 수 있고, 조선후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야담野談이나 전傳그리고 기타 산문 등에서도 그 발전의 추세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주의적 성과는 한문학의 주류라 할 수 있는 한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의 시문학은 현실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대체로 실학파의 문인을 위시하여 진보적인 문인들은 현실주의적 심미관을 바탕으로 시 창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견지하면서 민족의 현실과 민(民)의 생활에 주목하였다. 예컨대 다산 정약용의“때때로 본 것을 기록하여 시로 엮는다”와 같은 시 창작론이 그렇다. 그리고 낙하생 이학규가 제기한“그 본 바를 서술해서 진정을 드러낸다”등의 언명들이 모두 그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둘째, 현실주의적인 표현미학을 들 수 있다. 엄격한 규정성과 완고한 문학적 관습이 요구되는 한시가 향토의 생활 방언이나 민족 고유어를 적극 도입함으로써 새로운‘표현미表現美’를 창출하였다.
셋째, 현실 모순의 다양한 양상을 소재로 포착하여 민족 정서가 강화되었다. 실학파나 진보적 문인 뿐 아니라 일부 여항시인까지도 현실의 모순 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그것을 시적으로 형상화하여 다양한 현실주의 작품이 나타났다. 여항시인이 등장하고 이들이 다수의 현실주의 시를 지은 것은 전에 없던 현상으로, 이는 시문학 창작층의 확산과 현실주의의 다양한 발전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서사 한시가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이 시기의 현실주의는 서사한시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는바, 그것이 이룩한 현실주의의 성과는 양과 질적인 면에서 이전 시기의 한시에서는 보기 드문 일이다.
이처럼 내재적으로 발전하던 현실주의가 조선 후기에 이르면 한문학의 여러 양식에 두루 걸쳐 가시화되고, 전통적 규범이 완고한 한시로 창작 되었다는 점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부여할 수
참고문헌
진재교,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의 다양한 발전」, 『민족문학사강좌』, 창작과 비평 2002
안대희, 「한국 한시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민족문학사연구』 제 2호, 민족문학사 연구소, 199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권, 지식산업사, 1994
임형택 편역, 『이조시대 서사시(상)』, 창작과비평사, 1992
강명관, 「조선후기 여향문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김지용, 『정다산 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