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

 1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1
 2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2
 3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3
 4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4
 5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5
 6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정의론]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창조적 자본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업의 자선을 통해 바라보는
사회 정의론
-창조적 자본주의-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기업의 자선
2. 롤즈의 정의
2-1. 롤즈의 정의관 개관
2-2 롤즈의 입장에서 바라본 빌게이츠와 기업의 자선
3. 왈쩌의 정의
3-1. 왈쩌의 복합평등론
3-2. 왈쩌의 입장에서 바라본 기업의 자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세계적 부의 상징, 억만장자의 빌게이츠 ! 왜 그는 자선사업을 하는가 ?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상식적인 것’을 한번쯤 숨을 고르고 바보처럼 되물어보면 과연 그러한 것인지 의문이 든다. 높은 사회적 지위와 부의 축적 뒤에는 ‘나눔’이 뒤따라야 하는가? 그것이 정당화되는 근거는 무엇일까? 얼마 전 번역되어 한국에 출간된 는 빌 게이츠가 2008년 1월 스위스의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제안한 창조적 자본주의(creative capitalism)를 둘러싼 지식인의 토론을 엮은 책이다. 빌 게이츠의 연설과 워린 버핏과의 토론 그리고 경제학자, 법학자, 시민운동가 등의 다양한 목소리가 담겨있다. 책 내용 중 이러한 기부 및 기업의 자선에 주목하여 정의(正義)대해 논하고자 한다.
나눔과 베품, 공헌의 대명사로 빌 게이츠의 이미지 대전환이 이뤄진 계기는 2000년 ‘빌 앤멜린다 게이츠(빌 게이츠의 부인)’ 재단을 설립, 기부사업을 시작하면서부터다. 2008년까지 360억 달러, 2009년부터는 매년 35억 달러를 기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부호 2위에 올라있는 그에게,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빌 게이츠가 재단을 통해 기부를 하지 않았다면 세계 최대 갑부 자리를 고수할 수 있을 것이었다고 지적하기까지 했다. 단연 칭찬 받아 마땅한 행동처럼 보이지만, 빌 게이츠의 기부 행태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독일의 거부 페터 크레머는 사적 기부는 기부금의 용도를 소수의 부자들이 정하게 된다는 점과 시혜적 성격이 강해 신자유주의 체제를 보다 강화하는 장치로 쓰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논쟁은 지난 2008년 다보스포럼에서 빌게이츠가 `창조적 자본주의라는 개념을 제시, 이를 확산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면서 본격화됐다. 창조적 자본주의는 인센티브나 사회적 인정 등 자본주의 방식을 통해 세상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의 빈곤을 줄이는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자본주의를 통해 세계 최고의 부호가 된 빌게이츠가 던진 이 개념은, 개인이 자유롭게 이윤 추구 활동을 하고, 얻은 이윤을 통해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자본주의 원칙을 신봉해 왔던 우리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남아프리카 어린이에게 절실한 에이즈 약의 한계생산비용 생산물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
이 0에 가깝다 해도 미국이나 유럽에서 식량이 남아돌아 쓰레기가 된다 해도, 시장은 아프리카나 기아에 시달리는 북한에 약과 식량을 전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부분을 "시장의 근원적 한계"라고 이름 붙였다. 실제로 빌 게이츠가 다보스 연설을 하게 된 동기도 남아프리카나 인도의 현실, 특히 말라리아 등 현대 기술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약이 없어서 덧없이 죽어가는 아이들을 보았기 때문이다.
Ⅱ. 본론
1. 기업의 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