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

 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
 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2
 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3
 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4
 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5
 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6
 7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7
 8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8
 9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9
 10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0
 1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1
 1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2
 1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3
 1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4
 1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5
 1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의 소악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조의 소악부
◈ 目 次 ◈
Ⅰ. 서 론
Ⅱ. 본 론
1. 소악부의 정의
2. 소악부의 형성배경
3.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1) 익재의 소악부
(2) 급암의 소악부
(3) 소악부의 내용
(4) 소악부의 형식
(5) 소악부의 표현
4. 소악부의 제작과정
5. 소악부의 내용을 통해 본 민중들의 삶
6.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 론
Ⅰ. 서 론
소악부(小樂府)는 고려말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에 의해 처음 창작된 것으로 당시의 민요와 시가를 7언 절구 형식으로 한시화한 형태이다. 고려시대 민중들이 부르던 속요를 번해한 소악부의 정의와 그 발생 배경, 그리고 익재(益齋)와 급암(及庵)의 소악부를 통해 소악부의 내용과 형식, 거기에 나타난 민중들의 현실 대응 의식이 어떠했는가 하는 점을 살펴봄으로써 소악부의 국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 론
1. 소악부의 정의
소악부란 쉽게 말해 당시 유행했던 속요를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한문학의 악부(樂府) 속의 한 분파이다.
高麗條의 小樂府
악부는 중국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거기서 불리던 노래의 가사인 시가를 악부라 하였는데 그 뒤 음악과 함께 쓰이지 않고 시가만 독립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일컫는 소악부란 고려 때의 익재 이제현이 우리 고유의 민요를 칠언절구의 한시로 번역한 데서 유래되었다. 즉 문자로 기록한 민간의 노래였기 때문에 악부라고 하는 중국의 용어를 가져다 썼으며,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小)악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정리해보면 소악부란 절구체이면서 내용은 고려 속요나 조선의 시조를 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속요나 시조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형태이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 권4에 11편이 전하고, 민사평의 것은 『급암선생시고』 3권에 6편이 전하고 있는데 소악부 17편 가운데서 우리말 가사도 함께 남아 있어서 서로 대조해볼 수 있는 것은 ‘처용가’, ‘정석가’, ‘서경별곡’, ‘쌍화점’의 부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네 편이다. 또 『고려사』 악지(樂志)에는 소개되어 있되 우리말 가사가 전해지지 않는 소악부 7편이 있다.
[익재 영정]
2. 소악부의 형성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