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

 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
 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2
 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3
 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4
 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5
 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6
 7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7
 8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8
 9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9
 10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0
 1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1
 1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2
 1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3
 1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조 소악부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및 명칭문제
2. 소악부의 형성
2.1. 소악부의 형성경위
2.2. 소악부의 형성시기
3. 익재 소악부
3.1. 익재 이제현
3.2. 작품 및 내용
4. 급암 소악부
4.1. 급암 민사평
4.2. 작품 및 내용
5.소악부의 전화 방식 및 특성
5.1. 소악부의 전화 방식
6.2. 소악부의 형식적 특성
6.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1. 서론
소악부란 고려말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에 의해 최초로 창작된 것으로, 당시 민간에서 유행하던 우리나라 고유의 노래를 짧은 한시체로 번역해놓은 것을 말한다. 이제현은 중국 문학에 있어 齊 梁의 시대로부터 유우석(劉禹錫)이나 소동파(蘇東坡)의 에 이르는, 민간 가요를 시화(詩化)하는 오랜 전통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11수(前 9수, 後 2수)를 지었다. 이는 그의 문집인 《益齋亂藁》 권4에 실려 전한다. 민간 가요를 한시로 옮기는 소악부의 형식과 정신은 이제현에게서 마련되어 그와 동시대인이었던 급암(及庵) 민사평(閔思平)에게로 이어졌다. 민사평의 6수는 《及庵先生詩集》에 실려 전하고 있다. 이후 소악부 창작은 기나긴 공백기를 거친 후 조선후기 시인들에게 계승되었다. 조선후기의 소악부 작가로는 신위(申緯) 이유원(李裕元) 이유승(李裕承) 원세순(元世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한결같이 이제현을 전범으로 삼으면서 7언 4행의 연작시 형식으로 구전의 민간가요를 악부시화하고 있다. 이처럼 소악부는 그 형식과 창작정신의 면에 있어 우리 문학사에서 독자적인 전통을 형성하면서 악부시의 한 유형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소악부’의 형성기에 해당하는 고려조의 익재와 급암의 를 중심으로 먼저 그 정의와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와 의 작품들을 통해 내용 및 형식상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2.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및 명칭 문제
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고려말 익재 이제현에 의해 처음 창작되었으며, ‘소악부’라는 명칭 역시 이제현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가 무엇인지 보다 분명히 알기 위해서는 우선 그 명칭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樂府’는 원래 중국 한무제(漢武帝) 때 음악을 관장하는 관서의 명칭이었지만, 악부에서 맡아 하는 주요한 일이 중국 여러 지방의 민요를 채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부라는 관서에서 채집한 민요 그 자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그리고 나중에는 기존 악부의 전통과 문학관습을 따르면서 창작된 문인들의 한시까지도 악부라 불리게 되면서 ‘악부’라는 시체의 하나로 확립되었으며, 음악과는 분리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악부문학이 우리나라에 언제 수입되었는가는 확실치 않지만 고려 중엽 이후 ‘악부’라는 명칭이 문헌에 산견된다. 한국 악부시의 한 유형으로서 이제현의 는 7언 절구의 짧은 시이나 그 소재가 민간에 유행되는 가요의 한역시라는 점에서 중국 악부시와 공통점을 지닌다.
그렇다면 이때 ‘小’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이 ‘小’자 해석에 주안점을 두고 전개되어 왔다. 이에 대한 풀이는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서수생이 주장하는 설로서 그는 의 ‘小’자가 중국에 대한 사대 사상과 자기 폄하에서 나왔다고 여기고, 그 예로서 《小華詩評》이나 《小華外史》를 들었다. 서수생, , 경북대학교논문집, 제5집, 1962.
두 번째는 이우성이 주장한 설로서 그는 중국 재래의 악부나 고려 재래의 아악당악궁정악 등과 구별하기 위해서 악부 앞에 ‘小’자를 붙인 것이라 보았다. 이우성, , 한국한문학연구, 제1집, 1976.
세 번째는 이종찬의 설로서 그는 가 속요 한역의 7언 절구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중국 남북조 시대에 지었던 절구체 악부를 라고 칭한다는 근자의 중국학자 연구 서적을 인용하면서 이제현의 가 바로 여기에 준하며, ‘小’자는 절구를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이종찬, , 동악어문논집, 제1집,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