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

 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
 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2
 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3
 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4
 5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5
 6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6
 7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7
 8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8
 9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9
 10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0
 11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1
 12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2
 13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3
 14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지도론]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조 소악부에 관한 고찰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2. 소악부의 형성배경
3.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
4. 소악부의 제작 과정
5. 소악부의 내용을 통해 본 민중들의 삶
6. 소악부의 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는 고려말 李齊賢(이제현)과 閔思平(민사평) 사이에 화답하면서 탄생한 작품으로 국문 민가를 한문 시화하면서 전통 바탕에다 改變(개변)이라는 방법을 섞어 적극적인 창의 세계를 개척하여 당시 騷壇(소단)에 빛나는 광채와 이채로운 꽃을 터트리며 악부 문학 발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제현.민사평은 라는 작품을 만들면서 사대부 입장에서 민중들과 사이에 어떠한 인습적인 관념이나 이해 관계를 가미하지 않고 서로 공감하고 진솔한 내적 사상을 발로시키는데 힘썼으며, 농축되고 정제된 시어로써 악부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여 가락과 운치를 살리는 동시에 민족 문화에 독특하고 활기찬 문학 양식을 구현했다. 본고에서는 소악부의 개념을 중심으로 익재와 급암의 소악부에 대해 깊이 고찰해봄으로써 소악부의 의의를 말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소악부의 정의
소악부란 쉽게 말해 당시 유행했던 속요를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을 뜻하는 것으로 한문학의 악부(樂府) 속의 한 분파이다. 악부(樂府)는 중국 한대(漢代)에 각지의 민요를 채집하여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으로, 각 지방의 민요를 채집하여 정치의 잘잘못을 살폈다. 후대에 와선 이 악부에서 채록한 시가를 악부시가(樂府詩歌) 또는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는데, 그 뒤 음악과 함께 쓰이지 않고 시가만 독립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일컫는 소악부란 고려 때의 익재 이제현이 우리 고유의 민요를 7언절구의 한시로 번역한 데서 유래되었다. 그가 지은 소악부 11편은 당시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7언절구의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이다. 즉 문자로 기록한 민간의 노래였기 때문에 악부라고 하는 중국의 용어를 가져다 썼으며,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사용했으므로 소(小)악부라는 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정리해보면 소악부란 절구체이면서 내용은 고려 속요나 조선의 시조를 담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속요나 시조를 한시 절구로 번안한 형태이다.
모두 《익재난고》권 4에 실려 전하는데, 앞의 9편은 라는 제목으로 전하고, 뒤의 2편은 민사평에게도 소악부를 지어 보라고 권하는 의미에서 2편을 다시 지었다는 뜻이다. 앞의 9편은 대부분 《고려사》에 그 제목과 설명이 전하는 노래들이고, 뒤의 2편은 제주도 민요이다. 민사평의 것은 《급암선생시고》 3권에 6편이 전하고 있다. 소악부 17편 가운데서 우리말 가사도 함께 남아 있어서 서로 대조해볼 수 있는 것은 ‘처용가’, ‘정석가’, ‘서경별곡’, ‘쌍화점’의 부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네 편이다. 또 『고려사』 악지에는 소개되어 있되 우리말 가사가 전해지지 않는 소악부 7편이 있다.
2. 소악부의 형성배경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말에는 아직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이므로 한자로만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 그렇다고 우리말 노래를 신라시대부터 향유된 향찰로 그대로 기사하지도 않았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은 시가사상 최초로 ‘악부’라는 명명 하에 당대 민요를 번역하여 이를 남겼다. 그가 당시의 민요나 속요를 소악부화 한 데에는 그의 개인적 취향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보다 여말 사대부층이 일반적으로 공유하고 있던 민간의 동향과 백성의 삶에 대한 높은 관심이 소악부라는 독특한 형태로 표현된 것으로 봄이 온당할 것이다. 즉, 소악부라는 양식은 상층의 권문세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면서 서민세계에 대해서는 친화감을 지닌 채 일종의 중간사회층으로서 새로운 지배계급으로 부상하고 있던 여말 신흥사대부층의 사회내 위치와 관심, 취향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보인다. 이는 기속악부에 있어서도 비슷하지만 기속악부의 경우 민간세계에 관심을 기울인다고는 하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주로 시인 자신의 의식에 의해 굴절된 채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에 반해 소악부에서의 민간세계에 대한 관심의 표현은 직접적이다. 즉, 민간의 노래를 시화함으로써 민중의 정조나 의식세계, 삶의 양태를 아무런 굴절없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민중정서의 구현이라는 점에 있어서 소악부는 기속악부 일반보다 더 나아가 있다. 이 점에서 소악부는 사회적 안정기에는 성립 발전되기 어렵고 계급이동이 급격히 수반되는 역사변동기에 성립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문학양식이다. 비교적 안정기였던 조선전기에는 소악부 양식이 문학사에서 잠복했다가 역사변동의 속도가 빨라지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다시 소악부 양식이 출현 발전하고 있음이 이런 생각을 뒷받침 해준다.
이제현에 의한 여말의 소악부 양식의 성립은 연이어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를 낳게 하고 있다. 이제현의 번역관은 고려사(高麗史)와 익재난고(益齋亂藁)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고려사에는 익재난고에 실린 이제현의 소악부 11수 중 7수가 있으며, 각 작품에 해당하는 제목과 시에 대한 간략한 해설을 싣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① : 오관산은 효자 문충(文忠)이 지었다. 문충은 오관산 아래에 살았는데 어머니를 매우 효성스럽게 섬겼다. 그가 살고 있는 곳에서 서울까지는 30리 거리였는데, 봉양을 위해서 관리로 녹(祿)을 받았다. 아침에 나갔다가 저녁에 돌아오고, 아침 저녁 문안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노모가 약해져가는 것을 한탄하면서 이 노래를 지었다. 악지, 고려사“五冠山 孝子文忠所作也. 忠居五冠山下 事母至孝. 其居距京都三十\里 爲養{祿仕. 朝出暮歸 定省不少. 衰嘆其母老 作是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