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

 1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1
 2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2
 3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3
 4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4
 5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5
 6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6
 7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7
 8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8
 9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9
 10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 후기 민족주의와 새로운 노래문학의 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무신란•몽고란 이전의 고려 문학 (고려 전기 문벌귀족 문학의 양상을 서술할 것)

3. 고려후기 새로운 시가 문학의 방향

4. 나가며 (고려 후기 시가 문학의 방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고려 전기에 상층계급인 문벌귀족이 개인의 안위를 추구하던 시기가 지나고, 무신란을 기점으로 새로운 문학계층인 신흥사대부의 등장하면서 보다 현실적인 문학이 등장했다. 여기에서 현실적이라는 말은 몽고란 이후 대몽항쟁의 문학의 생성과 현실의 모순을 파헤치는 등의 문벌귀족의 규범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며 민중의 삶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진 ‘주체적 문학의 등장’을 의미한다.
고려사회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는 무신란 이후 한 세기 동안은 무신이 집권한 시기이다. 이 사건은 문벌귀족의 몰락과 신흥사대부의 출현을 야기했으며 신흥사대부는 새로운 문학의 세계를 형성했다. 이 시기에는 무신이 집권했던 시기였지만 최충헌 등의 무반의 집권자들은 문학을 장려했으며 신흥사대부들은 기존의 문벌귀족의 개인적인 성향의 인식체계에서 벗어나 민중적이고 주체적인 문체를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고려 전기에 비해 뒤떨어짐이 없는 새로운 영역의 문학을 열어 나갔다.
고려 후기는 향가가 사라진 시대였다. 신라 이래의 오랜 역사를 가진 향가는 고려 전기가 끝나는 것과 함께 그 잔존 형태마저 자취를 감추고,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문학사의 커다란 흐름을 역사 전반의 동향과 관련시켜 이해해야만 그 이유와 의미가 드러난다. 향가는 신라 이래의 귀족문학이었고, 고려 전기에는 신라의 전통을 이은 문벌 귀족이 지배세력으로 군림하면서 상층 문화를 담당했기에 어떤 형태로든지 지속될 수 있었다. 그러다가 무신란이 일어나자 문벌귀족의 지배체제가 무너지자 향가를 이을 수 있는 기반이 사라지게 되었고, 결국 중세 전기 문학의 오랜 시기는 끝나게 된다.
고려 후기의 지배 세력은 권문세족이라 할 수 있으며, 신흥 사대부가 이에 대항하는 세력으로 성장한 것이 또한 그 시기의 특징이었다. 권문세족은 무신란․몽고란을 겪고 원나라의 간섭이 지속되는 동안에 정상적이랄 수 없는 기회를 잡아 권력과 토지를 차지하기는 했지만 상층문화를 재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지 못했으며, 오히려 중세적인 지배체제를 위기로 몰아넣었을 따름이었다. 신흥 사대부는 이에 불만을 가지고 상층문화를 가다듬고, 지배 체제를 정비할 수 있는 이념을 마련하고자 했다.
신흥 사대부가 나서서 상층의 시가문학을 새롭게 일으키고자 한 데서 중세 전기문학과는 구별되는 중세 후기문학의 두드러진 특징이 구현되었다. 그래서 내놓은 것이 ‘소악부, 경기체가, 시조, 가사’ 등이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에 활발히 향유된 속악과 신흥사대부가 새로이 내놓은 ‘소악부, 시조, 가사’에서 공통적으로 고려 후기의 시가 문학이 지향하는 새로운 방향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무신란을 기점으로 그 이전의 문학 담당층인 고려 전기 문벌 귀족의 문학적 성향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본 후에, 이와 비교되는 고려 후기 시가 문학의 새로운 향방에 대해 ‘속악, 소악부, 시조, 가사’를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참고문헌
윤재민 「고려후기 사대부의 등장과 현실주의적 경향」, 『민족문학사 강좌 上』, 민족문학사연구소,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장덕순. 『이야기 국문학사』. 새문사. 2001.
박성규 『고려후기 사대부문학 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유영봉 『고려문학의 탐색』 이회문화사. 2001
임종욱 『고려시대 문학의 연구』 태학사 .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