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

 1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1
 2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2
 3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3
 4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4
 5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5
 6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6
 7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7
 8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8
 9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교육론] 만전춘별사 - 만전춘별사의 구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만 전 춘 별 사
-만전춘별사의 구조
차 례
1. 들어가며
2. 만전춘별사 기원
3. 만전춘별사 원문과 해석
4. 만전춘별사 제명(題名)
5. 만전춘별사 구조
5.1. 통일된 단일 작품으로 보는 견해
5.2. 개별 가사의 편장으로 보는 견해
5.3. 음악적인 면에서의 작품 구조 분석
6. 나가며
1. 들어가며
만전춘별사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결과는 이것을 하나의 정제된 시가 작품으로 보기에는 내용상 혹은 형식상의 괴리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이 작품을 통념대로 5개의 연으로 파악할 경우, 제2연이 여타 연들과는 다른 문체로 되어 있다든가, 제3연이 정과정의 연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든가 하는 지적이 그것이다. 그리하여 이들 두 연의 특수성독립성을 강조하고 이들의 유기성에 대한 괴리차질을 앞세우는 것이 거의 일반화된 경향이었다. 더불어 내용상의 이 같은 면을 수긍하면서 3장 양식의 정제된 시가 작품으로 파악하려 한 새로운 견해도 제기되어 왔다. 성현경, 만전춘별사의 구조, 고려시대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편, 형설출판사, 1975.
여기에서는 만전춘별사의 기원, 악장가사에 실린 원문, 그리고 만전춘별사의 제명을 살펴본 후에 본 발제의 핵심인 만전춘별사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외에도 만전춘별사의 작품 내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다양하지만 본고에서는 만전춘별사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생략한다. 간단히 언급하자면, 만전춘별사를 6연으로 본다면 그때의 4, 5연이 문제시 되며 이 외에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비슷한 해석을 보이고 있다.
2. 만전춘별사 기원
만전춘별사는 악장가사에 그 전문이 한글로 전한다.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라는 제목으로 각 단락마다 ‘○’로 구분하여 6단락으로 나누어져 있다. 악학편고에는 ‘만전춘오장(滿殿春五章)’라는 제목아래 노랫말이 전해지고 있다. 또 세종실록146권에는 봉황음(鳳凰吟) 一 二 三 다음에 ‘만전춘(滿殿春)’이라 되어 있으며 만전춘별사를 한시로 개작한 봉황음의 가사가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대학후보에는 만전춘이라는 제목으로 악보가 실려 전하고 있다. 최용수, 고려가요 연구, 계명문학사, 1995.
만전춘별사는 궁중속악가사 중 쌍화점, 이상곡과 함께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대표적인 남녀상열지사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남녀 간의 농도 짙은 사랑을 노골적으로 표현한 만전춘별사는 그러한 이유로 조선조 때 ‘비리지가(鄙俚之訶) 속된 것을 꾸짖다.
’의 대표로 유학자들의 비판을 받으며 악곡만 채용되고 가사는 봉황음으로 대체되었다.
3. 만전춘별사원문과 해석
악장가사의 만전춘별사 원문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