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

 1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
 2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2
 3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3
 4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4
 5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5
 6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6
 7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7
 8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8
 9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9
 10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0
 11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1
 12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2
 13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3
 14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4
 15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5
 16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6
 17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7
 18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8
 19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19
 20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몽골 경제의 발전과 한몽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몽골은 아시아의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후는 대륙성 기후이다. 수도는 중부 트라강 연안의 해발고도 약 1300m에 위치한 도시 울란바토르(Ulan Baatar)이며 인구는 약 100만 명(2004년 통계)으로, 몽골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살고 있다. 민족은 몽골족(94.9%), 투르크계(5%)로 구성된다. 몽골어를 사용하며 종교는 라마교가 대종을 이루고 이슬람교도 분포되어 있다. 몽골의 면적은 156만 4116㎢(한반도의 약 7배)이고, 인구는 약 300만 명(2008년 기준)이어서 세계적으로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나라에 속한다(2008년 기준 2명/㎢).
몽골은 흔히 13세기 문화와 현대가 공존하는 곳이라고 말을 한다. 유목이 주된 생업이고 그 생활방식이 별다른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방화 정책 이후 몽골은 과거 수백 년간의 변화보다 최근 몇 년 사이의 변화가 더욱 급격해지고 있다.
2. 몽골 경제 약사
몽골의 주요 민족인 할하족은 1310년 원이 멸망하고 몽골제국이 소멸된 이후에는 세력이 크게 약화되어 할하강 유역을 중심으로 살고 있었다. 1688년 청에 복속되자 ‘외몽골’로 불리게 되었다. 1911년 중국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외몽골의 지도자들은 청의 지배에서 벗어날 기회로 잡고 러시아의 지원 아래 12월 혁명을 일으켜 독립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반대로 독립은 성사되지 않았다. 1920년 결성된 몽골 인민혁명당은 민중을 조직화하여 민족해방운동에 동원하면서 혁명군을 조직하고 소비에트 적군의 원조를 얻어 중국군과 러시아 백위군을 축축하고 신정부를 수립독립을 쟁취하였다. 1924년에는 군주제를 공화제로 고쳐 국명을 ‘몽골 인민공화국’으로 정하고 재산 사유권 금지 등을 규정한 헌법을 제정함으로써 구소련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
당시에는 목축업 이외에 이렇다 할 산업이 발달되지 않았으므로 목축업과 라마 사원이 몽골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당시의 라마 사원은 넒은 농장과 가축, 인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라마승 또한 첩을 거느릴 수 있었고 몽골 경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몽골 인민공화국 정권이 수립되면서 초기에는 시장경제를 수용하였으나, 1928년 인민혁명당 제7차 대회를 계기로 대대적인 국유화를 단행하였다.
물가 급등과 국민생활 파탄, 무장봉기의 발생 등 국가경제의 붕괴 위기에 직면한 몽골은 1932년 국유화 조치를 취소하고 다시 시장경제를 향한 전환을 시도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 인민혁명당을 장악한 초이발산 Хорлоогийн Чойбалсан. 1895~1952. 1930년대부터 몽골 인민혁명당의 지도자 역임.
이 또다시 중앙계획경제를 시도했다. 그리고 1년에 120투그릭(Tugrik)이던 사원의 세금을 1933년에는 1000투그릭으로 인상하는 세율인상조치 등 라마교 박해를 1939년까지 지속, 국민경제의 중추역할을 담당하던 사원 개혁에 나섰다.
국민의 저항으로 가축의 소유는 여전히 개인에게 있었으나 이 시기의 재원은 주로 군사력 구축에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경제개발이 지연되었다. 또한 이때부터 식량배급제와 농산품의 할당제가 실시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몽골은 구소련을 위시한 CMEA(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국가들의 원조를 받아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시행하게 되었다. 1950년대 초 인민혁명당은 유목민의 가축을 집단화하기 위해 지역사무소를 설치하고, 국영협동조합에 회계방법, 관리훈련, 우대대출 및 세율도입과 같은 조치를 단행하였다. 민간 목축업자의 부담을 높이기 위해 의무수매제도(The system of compulsory delivery)를 개정하였다. 이런 조치에도 불구하고 1955년까지는 전체 인구의 60% 이상이 민간목축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1958년까지 700개 이상의 집단농장이 조직되었으나 통합과정을 통해 1960년대 중반에는 289개로 줄어들었다. 이 기간 동안 민간 유목 가구 수는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하였다.
반면 1960년대 헌법은 가축의 사적소유를 공식적으로 제한하여 모든 생산을 국가에 유보시켰다. 아울러 국영협동조합에 할당된 노동일수를 두 배로 늘려 남자 150일, 여자 100일로 하였다. 1963년에는 국영협동조합체제에 소속되지 않은 가구 수가 전체 가구 수의 0.5% 이하로 떨어졌다.
몽골은 1960~70년대를 거쳐 1985년까지 7차에 걸친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시행하였다. 1986년부터 시작된 제8차 5개년계획은 시네치엘(Shinechiel, 경제개혁) 바람으로 진행 도중 계획을 수정, 농업생산 확대를 통한 식량공급 개선과 소규모 공업프로젝트 개발 등을 통하여 중앙계획경제를 탈피하려고 노력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