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와 문화제도 의문 화화 경제학개론

 1  제도와 문화제도 의문 화화 경제학개론-1
 2  제도와 문화제도 의문 화화 경제학개론-2
 3  제도와 문화제도 의문 화화 경제학개론-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도와 문화제도 의문 화화 경제학개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매번 반복되는 ‘의식의 변화가 먼저인가? 제도의 변화가 먼저인가?’ 논의와 같은 맥락에서, 제도와 문화 역시 논란을 피하기 힘들다. 마치 ‘달걀이 먼저인가 닭이 먼저인가’ 논란과 견줄 만큼 순서를 가리기 어렵다. 달걀이 먼저일 때도 있고 닭이 먼저일 때도 있지 않을까! 그러니까 제도가 먼저일 때도, 또는 문화의 변화가 먼저일 때도, 둘 다 함께 수반된 결과 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우리가 제도와 문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논의하고자 한 것은, ‘제도가 어떻게 문화와 인식 속으로 침투해 들어가는가?’이다.
우린 교수님이 던지셨던 여러 논점 중에 자동차 핸들의 위치 차이에 주목했다. 동일한 나라로부터 제도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왜 자동차 핸들의 위치는 다르게 된 것일까? 이러한 제도가 의도했던 것은 무엇일까? 또는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나타난 그 결과가 어떤 문화적 형태를 취하고 있을까?
그래서 우린 제도가 문화로 파생되어진 사례를 몇 가지 찾아보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 사례를 통해 제도가 문화화 된 형태와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했다.
제도는 문화의 뿌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우리가 익숙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문화들 중 일부는 제도가 문화화 된 경우가 있다. 사상/종교가 국가의 문화를 형성 하게 된 사례가 그 예이다.
중세시대에 카톨릭이 국교로 지정되면서 당시 사회와 문화의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국가라는 것이 존재하긴 했지만 장원 중심 사회라는 특성상 국가가 국민들에게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의 크기가 작았다. 즉 중앙 집중적인 정부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국교는 유일하게 범장원적인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고, 어떻게 보면 과거의 제도라고 해석 할 수도 있으며, 이 국교라는 제도는 약한 국가 권력의 빈자리를 대신했다.
중세시대 공동체의 중요한 행사인 축제, 혼인, 장례 등은 모두 교회를 통해 수행하였다. 교회는 장원 공동체의 핵심적인 역학을 하였는데, 모든 계급 - 농노까지도 아우르는 공동체의 기반이었다. 농노의 방목, 씨뿌리기, 수확, 세금 내는 날 등은 모두 성서 내용에 맞춰졌던 것이다. 또 다른 계급인 기사에겐 ‘정의를 사랑하는 성실한 전사’라는 의무가 주어지기도 하였다. 이것은 과거에서 그치지 않고 지금까지도 많이 남아 있어, 현재 유럽 문화의 기반이 되고 있다.
비슷한 예로 한국의 유교를 들 수가 있다. 유교는 조선시대 이성계가 유교를 정치의 사상적 기반으로 삼으면서 본격적인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여성들은 유교의 일곱 가지 덕목에 맞춰 평가되었고 조선후기에 편찬된 [경국대전], [속대전]은 가장이 자신의 직계가족원들을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규정함으로써 가부장권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주자가례]의 정책적 시행은 제사상속을 부계로 제한하여 모계혈통의 사회적 지위를 점점 낮추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렇게 한국 사회에 장남 우대, 모계 차별이 굳어진 것이다.
위 사례들은 제도가 되어 버렸던 문화의 사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사회적 영향력을 무시한 제도정책 수정은 혼란을 가져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