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

 1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1
 2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2
 3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3
 4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4
 5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학윤리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이란 사회에 해를 끼치는 것을 피하며 사회적 이익을 창출하도록 노력을 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신이한 연구의 결과들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하고 공중에게 그 결과를 알려주어야 한다.
이제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사례와 아인슈타인, 노벨 그리고 폰 브라운의 사례를 살펴보자.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긍정적인 사례
a.세계과학자연맹(WFSW)의 과학자 헌장
WFSW는 1948년에 과학자 헌장을 채택하였는데 이는 50여 년 전에 작성된 것임에도 오늘날의 과학자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잘 그려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의 문제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다.
이 헌장에서는 "과학자라는 직업에 시민이 보통의 의무에 대해 지는 책임 외에 특수한 책임이 따른다"는 점을 자각하고, "특히 과학자는 대중이 가까이 하기 어려운 지식을 갖고 있든가 또는 그것을 쉽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선언하였다. 이러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과학자는 세 가지 측면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먼저 과학에 대해서는 과학연구의 건전성을 유지하고 과학적 지식의 억압과 왜곡에 대해 저항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전히 공표하는 등의 과제를 헌장에서 부과하고 있다. 이어 사회에 대해서는 과학, 특히 자기 자신의 분야가 당면한 경제적·사회적·정치적 문제들에 대하여 지니는 의미를 연구하고, 아울러 기아 및 질병과 싸움으로써 모든 나라의 생활과 노동조건을 평등하게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할 것 등을 규정했다. 마지막으로 세계에 대해서는 전쟁의 근원을 연구하는 동시에 과학자의 노력이 전쟁준비의 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할 것 등을 포괄하고 있다.
b.군비경쟁에 대항하는 국제과학자운동 - 퍼그워시 회의
과학과 세계문제에 대한 퍼그워시 회의는 군비경쟁과 군축에 대해 주된 관심을 쏟는 국제적 과학자조직이다. 이는 앞서의 국제과학자연맹과 마찬가지로 2차 세계대전 이래 과학자들과 사회 간의 관계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분명히 입증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퍼그워시 회의의 기원은 1955년 7월에 발표된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으로, 버트랜드 러셀과 앨버트 아인슈타인이 공동으로 서명한 이 선언은 서로 다른 정치적 관점을 대변하는 과학자들이 대량살상무기의 개발로 나타난 인류의 위기를 논의하기 위해 함께 모일 것을 촉구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1957년 동서 양 진영의 과학자들 22명이 모여 첫 번째 회의가 개최되었는데, 회의가 처음 개최된 캐나다 노바스코샤의 마을 이름을 따서 나중에 퍼그워시 운동이라고 알려지게 되었다. 이 최초의 모임에서 핵전쟁의 방지와 군축의 달성이 주요 목적으로 확립되었고, 이어 후속 퍼그워시 회의는 핵 군비경쟁의 위험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핵실험의 전면 중지, 핵무기의 수평적 확산을 규제하기 위한 방안의 강구, 위기 발생시 핵전쟁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의 모색 등을 촉구하였다.
퍼그워시의 관심범위가 확대되는 것과 함께, 연례회의의 참가자 수도 최근에는 약 200명에 달하는 등 10배가량 확대되었다. 퍼그워시 회의와 이 회의 창설자인 롯블랏 교수는 세계평화와 안보증진에 대한 그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1995년 공동으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과학자들이 보여야 할 자세는 과학의 객관성·가치중립성이라는 방패 아래 숨어 책임을 회피하는 것은 아닐 터이다. 과학자들은 자신의 연구를 가능케 한 사회로부터의 지원, 그리고 그 결과가 가져온 사회적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자신의 과학 연구의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의 문제를 좀더 엄격하게 바라보는 성찰적 자세를 지녀야만 한다.
이런 점에서 노벨상을 수상했던 화학자 로얼드 호프만의 태도는 눈여겨볼 만하다. 비판자들이 책임의식에 대해 이야기하면,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이를 무시하거나, 과학의 순수성이나 가치중립성을 내세우거나, 과학의 엄청난 기여에 대한 일반인들의 무지에 대해 불평하는 등의 태도를 보이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호프만은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창조물이 어떻게 이용되고 오용되는가에 대해서도 절대적인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반박한다. 그는 1960년대에 유럽에서 8000명의 기형아를 낳게 했던 탈리도마이드사건을 언급하면서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접근하는데, 여기서 그는 "인간의 생명과 관계되는 과학에서 부주의나 사기나 조작이 가능해서는 안 된다. 탈리도마이드 재난은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되는 것 이었다"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호프만의 이러한 성찰적 자세는 과학자가 지녀야 할 사회적 책임이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공학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정적인 사례
a.원자폭탄의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