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

 1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1
 2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2
 3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3
 4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4
 5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5
 6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가 지시선으로 수업 읽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업 비평이라는 장르가 학계에서 작은 연구의 흐름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장 교사들에게도 어느 정도 대중화되었으나, 여전히 수업 비평의 개념과 방법에 대한 이론적 작업 뿐 아니라 수업 비평에 참여하는 자발적 비평 공동체를 창출해야 하는 등 중요한 과제가 남아 있음. 본 연구는 수업 비평의 유형화 작업에 대한 관심에 기반 하여 하나의 수업 사례에 대한 다양한 비평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제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시선에서 읽기가 가능한 소재라고 판단한 2003년 10월 남한산 초등학교 황영동 교사의 4학년 사회 교과 문화재 수업을 세 가지 시선으로 비평함.
이 수업을 선택한 이유로,
① 기존 문화재 수업과 상당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문화재 수업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촉발하기에 좋다는 점 이혁규(2008).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참고
② 내용 전달의 오류와 같은 흥미로운 비평적 이슈를 지니고 있으며 이 중요한 결함이 수업의 자율성이나 교수법적 변환과 같은 주제와 연결되는 흥미 있는 논의거리를 제공한다는 점
③ 수업 실천이 관찰자인 교사들에게 논쟁적으로 비친다는 점
을 들어 이 수업이 풍부한 읽기를 연습할 수 있는 다성적 텍스트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 수업을 소재로 하나의 수업 사례에 대한 다양한 읽기 작업을 시도함.
이를 위한 이론적 선행 작업으로 수업의 텍스트성을 고찰하고 수업 비평의 유형화 작업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초등 사회 문화재 수업의 의미 해석을 위해 세 가지 관점을 택하여 수업 읽기를 시도함. 이 연구는 수업을 효율성의 관점에서 편협하게 이해하는 기존의 수업 관찰에 대한 대안 모색이라는 차원에서 의미가 있음.
참고) 수업장학 : 교사의 수업 행위를 변화시켜 교수-학습 방법 개선을 지향, 수업 관찰 협의록 기록
수업평가 : 교사의 수업 행위 평가, 등급화가 목적, 양적 질적 평정지에 기록
수업컨설팅 : 컨설팅을 의뢰한 교사의 고민과 문제해결을 위한 관찰, 관찰 보고서에 정리
수업비평 : 수업 현상 이해와 해석, 판단이 목적, 질적 비평문으로 기록(수업 비평문은 수업 현상에 관심을 가지는 많은 사람들을 내포 독자로 삼으며, 또 다른 비평에 노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