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事:고토와 교육

 1  사事:고토와 교육-1
 2  사事:고토와 교육-2
 3  사事:고토와 교육-3
 4  사事:고토와 교육-4
 5  사事:고토와 교육-5
 6  사事:고토와 교육-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事:고토와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13장 ‘물(物:모노)’, ‘사(事:고토)’ [발제 주] 번역본에서는 ‘모노’를 교구로, 고토를 ‘교육관행’이라 표현하였지만, 기본적으로 모노의 물(物)은 교구를 포함한 교육시설, 미디어 전반을 가리키고, 고토는 사(事)로서 교수·훈육·학습의 모든 사실(事實)들을 담아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물과 사는 역으로 하면 바로 물질세계에 있는 모든 구체적이며 개별적인 존재의 총칭인 ‘사물(事物)’이 된다. 즉 이 장의 주제는 교육과 관련된 일체의 ‘사물’이라 할 수 있다.
와 교육
지금까지 교육학이나 교육사에서는 교육 내용이나 제도, 사상 등을 주요 교육 연구대상으로 삼고, 교육의 실천을 구성하는 ‘물(物)’나 ‘사(事)’의 환경 조건에는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 오늘날 교육을 구성하는 외적 조건은 매우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장의 구성 원리는 ‘제11장 교육의 미디어사’와도 맥을 같이한다. (쓰지모토 마사시 本雅史)
* 대표적인 연구물: 사토 히데오(佐藤秀夫), 『노트나 연필이 학교를 바꾸었다』(平凡社, 1988년), 이시즈키 미노루(石附實), 『근대일본의 학교문화지(文化誌)』 (思文閣출판, 1992년): 사토는 ‘학교의 문화사’, 이시즈키는 ‘학교의 문화지’라는 표현 사용. 참고: 本는 ‘사회문화사’라 표현함 [발제 주] 쓰지모토 마사시(本雅史) 編, 『日本の社會文化史』, (放送大學敎育振興會, 2004)에서는 시대구분을 ① ‘문자사회의 시대’로서의 근세·근대, ② ‘국가의 시대’로서의 근대, ③ ‘학교교육의 시대’로서의 근대, ④ 근세의 ‘배움 문화’로부터 보는 근대교육, ⑤ 미디아와 교육 - ‘근대사회’에서 ‘학습사회’로 나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1절 물(物)·사(事)와 비교교육사적 가능성 -학습 도구의 역사를 사례로-
1. 『학교와 사회』와 물(物)
J·듀이는 시카고 대학 부속소학교의 교육활동에 알맞은 책상을 구하기 위해 동네 가구점을 돌아다녔지만 생각했던 물품을 발견하지 못함 : 『학교와 사회』의 1절 내용으로 아이들이 할 수 있는 유일한 활동은 ‘듣는 것’뿐. 교재는 만들어진 것만 있고 교육방법은 획일적이고 아이들을 일사불란!
2. 물(物)·사(事)의 구체성 『類語大辭典』(講談社, 2002)
* 물(物)은 노트나 연필 등의 학습 도구, 칠판이나 괘도(掛圖), OHP 등의 교구, 책상이나 의자, 교실, 교사(校舍), 운동장 등이나 그들의 배치와 같이 (3차원) 공간축에서 본 교육.
* 사(事:고토)는 시간표나 연간 계획서, 졸업식, 운동회 등의 행사를 포함한 시간축에서 본 교육.
* 물·사의 교육사 연구방법: 문헌사료 + 그림사료 중시.
참고문헌

* 학교시설과 관련하여:
- 한국교육시설학회(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www.kief.or.kr/ 학술지 『교육시설』 (KCI 등재지)
- 한국교육사학회 편, 『역사 속의 교육공간, 그 철학적 조망』, 학지사, 2011. (저자: 정순우, 황금중, 안경식, 육수화, 김지민, 이호열, 윤재흥, 한용진, 송순재, 권문성, 국성하)
- 한용진 강상대 강경인 최욱, “21세기를 위한 학교건축 모형 개발”, 『敎育問題硏究』 12집, 1999.
* 문학사학과 관련하여
- 이영미, “문학사학(文學史學: Literary History Studies)을 위한 시론”, 『국제어문』 36집, 국제어문학회, 2006, 325-359.
- 董乃斌, 陳伯海, 劉揚忠 共著. 『中國文學史學史』(전3권), 石家庄 : 河北人民出版社, 2003. / 第1卷. 傳統的中國文學史學 -- 第2卷. 中國文學通史與斷代史的?生與演變 -- 第3卷. 各類文學專史的形成與繁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