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

 1  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1
 2  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2
 3  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3
 4  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조사방법론 탈북이주민의 학습경험 과정체 성재 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최근 탈북이주민의 수가 급증하면서 관련 연구 또한 활성화되었으나 초기의 연구는 탈북이주민의 남북한 간 사회문화적 차이, 사회적 편견, 지원 제도의 미비 등으로 인한 사회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해 탈북이주민들을 사회적 상호작용의 주체보다는 일방적 적응의 대상, 복지서비스의 수혜자로 보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님
2) 새로운 관점 제기
- 정진웅: 일방적 적응을 목표로 삼는 탈북청소년 교육을 벗어나 새로운 교육적 시도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자발적 비적응’이라는 개념 제시
- 김경준·이부미 외: 탈북청소년은 견고하고 복잡하고 다층적인 민족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부적응의 단서로 보지 말고 우리 사회의 동질성에 대한 압력에서 벗어나 다원주의적 가치를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
- 이희영: 탈북이주민의 정체성은 정치적 태도나 적응과 통합의 관점으로 보는 것에서 벗어나 서로 다른 생애체험을 배경으로 남한 사회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영역에 참여하고 실천하며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
3) 본 연구의 관점과 목표
- 탈북이주민들이 남한 사회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의 삶을 어떻게 구성해 가는지 주목하고 적응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경험에 대한 끊임없는 재해석과 생애사적 의미의 변화를 일종의 학습과정으로 본 후 이들의 생애경로에 영향을 미친 경험·경험의 재구성·정체성의 변화과정을 탐색, 이를 통해 탈북이주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교육지원방안 도출
4) 본 연구의 연구문제
- 탈북이주민들은 우리 사회에서 어떤 학습과정을 경험하는가? 특히 학교의 형식교육 외의 무형식학습 영역에서 경험하는 것들
- 탈북이주민들의 경험은 어떻게 남한살이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로 전환되는가? 과정상 특징은 무엇이며 경험이 지식으로 전환되는데 있어 활용되는 학습기제는 무엇인가?
- 탈북이주민들의 정체성은 어떻게 재구성되는가? 재구성에 있어 우리 사회뿐 아닌 북한에서의 삶과 탈북 과정에서의 경험은 어떻게 작용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