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

 1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1
 2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2
 3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3
 4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4
 5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5
 6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6
 7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7
 8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8
 9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성령의 신학자 폴 틸리히의 교회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틸리히는 흔히 ‘문화의 신학자’, ‘철학적 신학자’ 로 많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부분만을 본 것이며, 그의 신학 전체를 조망했을 때, 그가 분석한 문제는 철학적-문화적 관점이지만 그것의 대답은 영적 현존, 즉 성령의 임재로써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수식어 중 가장 먼저 붙어야 할 것은 ‘성령의 신학자’ 이다. 틸리히가 전개하고 있는 교회론도 예외 없이 성령론적 접근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우리는 앞으로 그의 신학에 결정적 영향을 준 생애의 사건들과 신학적 전제들을 살펴볼 것이며 그의 교회론의 노른자 즉, 영 공동체로서의 교회, 구원 공동체로서의 교회, 하나님 나라 대표자로서의 교회를 어떻게 영적 현존과 관련되어 설명했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또한 틸리히가 주장하는 교회 갱신의 가능성의 원리 등을 고찰하면서 이 글을 맺으려 한다.
2. 폴 틸리히의 생애 박만, 『현대신학자 평전,3 경계선상의 신학자 폴 틸리히』, (살림, 2009)에서 틸리히의 신학에 결정적영향을 끼치게 된 사건들을 중심으로 요악-정리하였다.
폴 틸리히는 1886년 8월 20일 독일 베를린 근처의 슈타르체텔(Starzeddel)에서 태어났다. 그는 특히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루터파 목사인 그의 아버지 요한 오스카 틸리히에게서는 우울하고 명상적인 성격, 책임의식, 높은 인격적 죄의식, 강렬한 권위의식과 봉건적 전통의 기질을 물려받았고 그의 어머니인 빌헬미나 마틸드에게서는 생에 대한 열정, 구체적이며 생동적인 것에 대한 사랑, 합리성 그리고 민주적 태도를 물려받는다. 그는 아버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아버지의 권위주의적이며 엄격하고 억압적인 성향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이것이 그의 신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아버지에 대한 반발로 일생 동안 지적정직성과 자유로운 사고의 소중함을 강조하게 된다. 틸리히 신학은 여러 면에서 자유롭고 탈 전통적이며 파격적인데, 이는 많은 부분에서 그의 부친 및 그가 자란 환경에 대한 거부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Ibid, 23-25.
이를 통해 신학은 신학자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살이 되던 1904년, 그는 아버지를 따라 목회직에 몸을 바치기로 결단하였고, 또한 철학자의 길을 가기로 결심한다. 그런데 그 해 겨울, 그에게 특별한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 우연히 들른 한 서점에서 그의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프리드리히 셸링(Friedrich Schelling)의 전집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그는 이 전집을 읽으면서 셸링의 매력이 깊이 매료되었고, 훗날 박사학위논문으로 셸링을 택하게 된다. Ibid, 30.
또한 그는 1년 뒤, 할레대학에서 신학공부를 했는데, 이곳에서 그의 신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노교수 마르틴 캘러(Martin Kahler)를 만나게 된다. 그를 스승으로 모시면서 틸리히는 바울에서 루터로 이어지는 이신칭의 교리의 깊은 의미를 알게 되었고, 그것을 일생 동안 자신의 신학의 중심으로 삼게 되었다. Ibid, 31.
그러던 중 1914년 세계 제1차대전이 발발하게 된다. 1차대전 중 틸리히는 1914년 9월부터 1918년 9월까지 만 4년 동안 군목으로 일했으며 이 전쟁은 그에게 “처음이자 마지막이며 유일할” 정도로 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 Ibid. 33.
틸리히는 전쟁의 경험을 통해 그의 세대가 결코 무시하고 넘어갈 수 없는 인간 실존의 어두운 심연을 보게 된 것이다. 19세기의 낙관주의와 진보에 대한 믿음은 20세기의 실존적 불안과 절망으로 대치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돌아온 틸리히는 더 이상 역사의 진보를 믿는 소박한 부르주아가 아니었다. 그는 역사의 심연을 경험한 사람이 되었고 이 경험으로 인해 시대의 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들을 가지고 씨름하기 시작했으며 그 가운데 종교사회주의운동에 깊이 참여하게 된다. 즉, 전쟁의 경험을 통해 그는 이전의 철학적 관념론과 신학적 초월주의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토대에서 신학적 사유와 행위를 전개하게 된 것이다. Ibid, 34-3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