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

 1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1
 2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2
 3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3
 4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4
 5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5
 6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6
 7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7
 8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8
 9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키너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함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키너는 인간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믿었으며 처벌과 보상을 통해 자연적인 능력과 성격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에 의하면 자율적인 인간이란 존재할 수 없으며 인간의 자기 결정과 자유의 가능성은 배제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즉 인가의 행동은 자극 반응 관계에서만 설명할 수 있다고 봄으로써 인간 본성에 대한 객관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Allen, 2003)
그는 또한 개개인의 독특함에 대해서 인정하였는데, 이는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이 사람마다 다르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는 인간의 행동은 개인과 그들의 환경 사인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관련된다고 보았으며, 모든 행동이 앞서 발생된 일의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의 말에 따르면 어린 아이들의 경우 긍정적 반응을 일으킨 행동은 반복하는 특성을 보이며, 무시되거나 꾸중을 들은 반응은 하지 않으려는 특성을 보인다고 한다. 이런 기본적인 가정을 토대로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영향을 받고 또 변형되는지를 연구했다.
1)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을 반응행동과 조작적 행동으로 구분하였다. 반응행동은 뜨거운 것을 가까이 했을 때 손을 훔츠리는 행동과 같이 자극에 대해 반사적으로 나오는 행동이며, 조작적 행동은 제시되는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습득된 행동을 의미한다. 조작적 조건화란 자극이나 특수한 조건에 의해, 어떤 반응이 유발되는가에 대한 기능적 분석을 실시하여,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발견하고, 원인인 자극을 조정함으로써 그 결과인 반응을 통제할 수 있다는 원리이다.
조작적 조건화는 쏜다이크(Thorndike,1874-1949)의 도구적 조건화 실험, 즉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지렛대 실험을 토대로 이것이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고 봄으로써 어떤 행동과 결과를 통해 그 행동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조작적 행동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화를 입증하기 위해 ‘스키너상자’라고 불리는 실험 장치를 고안하였다. 이 실험에서 지렛대를 누르는 행위는 먹이에 의해 강화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만일 지렛대를 눌렀을 때 먹이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지렛대 누르는 속도는 빨라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렇듯 조작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화가 무엇보다도 결정적 역할을 한다.
스키너는 인간의 행동 역시 자극과 반응의 결합을 통해 나타난다고 보았으며, 우리의 행동이 주변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반응에 의해 자리 잡는다고 본 것이다. 이는 인간이 외부 자극에 의해여 단순히 기계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을 스스로 조작함으로써 반응한다는 관점으로 인간을 스스로의 의지를 지닌 존재로 본 것이다(Allen, 2003).
2) 강화
강화는 어떤 행동에 따르는 결과가 그 행동을 다시 야기하도록 하는 가능성을 높이는 자극이다. 강화의 형태에는 일차적 강화물과 이차적 강화물(조건적 강화물)이 있다. 일차적 강화는 그 자체로 생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강화물이다. 예를 들어, 배고픈 사람에게 음식을 주는 것에는 음식은 그 자체로 충분한 강화물이 될 수 있다. 이차적 강화물은 일차적 강화물과 연결됨으로써 강화력을 가지게 된 자극을 말한다. 배고픈 아이에게 음식을 주면서 보여주는 엄마의 웃음 또는 지원의 포시는 이차적 강화물에 해당한다.
강화에는 긍정적인 보상에 의해 뒤따르는 반응의 빈도를 높이는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뒤따르는 혐오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반응의 빈도를 높이는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가 있다. 정적 강화의 예로는 가정에서 아이가 집안 청소를 할 때마다 스티커를 붙여주어 많이 모으면 원하는 선물을 사준다거나, 부모와의 약속을 잘 지키는 아이에게 칭찬을 해주는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긍정적 보상을 통해 그 행동을 지속하고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반면 부적 강화는 수업시간에 발표를 잘 하는 학생에게는 그 날의 청소를 면제해 줌으로써 학생들이 좀 더 좋은 발표를 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것은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사람이 싫어하는 어떤 것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어떤 것이 적절한 강화요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관창을 칠요로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