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

 1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1
 2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2
 3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3
 4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4
 5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5
 6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방언을 통한 유머의 양상과 지역민의 의식 구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통 사투리라고 불리나 이 단어는 다소 규범적인 면에서 보아 비하된 개념이므로 언어학 용어로 쓰이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에 비하여 언어학적인 방언이란 한 언어가 분지적(分枝的)으로 발달하여 몇몇 개의 지역적으로 다른 언어체계로 분화되었을 때 그 체계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정의에 의하면 영어와 독일어도 더 큰 게르만조어(祖語)에서 분지하였으므로 방언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한국어에서 분지된 경상도말과 전라도말도 방언이라고 불릴 수 있다. 따라서 언어와 방언은 본질적으로 구별이 없다. 그러나 방언을 언어와 대립된 개념으로 쓰려면, 각각의 방언 사용자들이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을 때, 그 때의 언어를 방언이라고 한정시키는 수도 있으나 객관적인 정의는 되지 못한다.
방언이 생기는 까닭은 우선 지역적으로 격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한 사람의 화자(話者)와 한 사람의 청자(聽者) 간에도 지역적인 차이가 있다. 지역의 차이가 적을수록 방언의 차이가 적으나 이 지역의 차이라는 것이 반드시 지리적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정치적 ·문화적인 면도 고려된다.
따라서 지역이 갈라지는 것은 언어 사용자의 이동 등을 통하여 산 ·강 등의 자연장애, 도로 ·해로(海路)가 없어지거나 정치적 ·행정적 구역, 통학구역 ·시장권 ·혼인권, 종파적 구획, 지역사회의 폐쇄성 또는 고립성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http://100.empas.com/entry.html/?i=71626&Ad=map)(엠파스 백과사전)
(2) 유머속의 방언
1. 충청도 사투리
충청도 사투리는 ‘∼ㅕ’ 또는 ‘∼ㅑ’로 끝나는 어미가 특징적이다. 구수한 시골 아주머니의 넉넉한 인심처럼 너무 부드럽게 넘어가는 억양이 특징이다. 또 하나 충청도 사투리의 대명사는 너무 느리다는 것. 라는 꽁트는 충청도 사투리의 느림을 유머로 표현한 것이다. 충청도 사투리 중 ‘기여’란 단어는 억양의 차이로 그 의미가 달라진다. 하면서 끝을 올리면 라는 뜻으로 되물을 때 사용하고, 하고 끝을 내리면 라는 긍정적인 답변의 뜻이 된다.
예) 철수 : 나 병원에 입원했어 / 영희 : 기여? → 정말이야?
예) 철수 : 영희야 그 영화 재미있었지? / 영희 : 기여 → 어. 재미있었어
□ 재미있는 문장
1) 식당에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