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

 1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1
 2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2
 3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3
 4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4
 5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5
 6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6
 7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7
 8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8
 9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9
 10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10
 11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11
 12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캐릭터들의 언어 분석과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 주제 선정 이유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4. 연구 대상에 대한 정보
4-1.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 란
4-2. 드라마 ‘소문난 칠공주’의 등장인물
Ⅱ. 본론
1. 인물들의 대사 분석
1-1. 성격, 특성에 따른 대사 분석
(1)속어
1) 기존 어휘에 덧붙여진 새로운 뜻
2) 외국어나 방언에서 차용하는 경우
3) 기타
(2)개인어
1)어미에 따른 개인의 말투
2)연인들만의 암호식의 언어
3)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빗대어 독특하게 표현함으로써 웃음을 유발시키는 말
4) 개인이 자주 쓰는 언어
(3) 가정환경, 가치관과 관련된 말
1) 가정환경에 의한 말
2) 가치관과 관련된 말
1-2 . 직업에 따른 대사 분석
(1) 계층어
(2) 사회어(직업어)
1-3. 생활환경에 따른 대사 분석
(1) 방언
1)충청도 방언
2)경상도 방언

2. 드라마의 배경과 우리 사회와의 관계 분석
2-1. 재혼가정
2-2. 인터넷 쇼핑몰 증가
2-3. 혼전임심, 리틀맘의 증가
2-4. 가부장적가정->개방적인 가정으로 변화

3. 이 드라마가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
3-1. 연상연하 커플 열풍
3-2. 직업군인(특히 연장)에 대한 생활상 반영
3-3. 미칠이 패션

Ⅲ. 결론
1. 연구의 정리 및 한계점
2. 연구 후 느낀 점
3.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1-3. 생활환경에 따른 대사 분석
(1) 방언 : 태어난 환경이나 생활한 환경에 따른 대사의 특성.
1) 충청도 방언 : 이 드라마에서는 주로 충청도 사투리가 나오는데, 충청도 사투리는 ‘-ㅕ’또는 ‘-ㅑ’로 끝나는 어미가 특징적. 구수한 시골 아주머니의 넉넉한 인심처럼 너무 부드럽게 넘어가는 억양이 특징. 언어의 속도가 매우 느리다.
 (제12회 S#19, 제18회 S#55) ‘사우, 아래께’, ‘지우’
남달구 : 사우가 장모 닮는 법도 있남?
우리 아래께 조태유네 알지야? 그놈의 집구석도 난리났잖여.
지우 삼만원?
cf) 사우[명사] : 사위의 방언(강원, 경기, 경남, 전남, 충청).
아래께[명사,부사] : '접때'의 방언(충북).
지우[부사] : '겨우'의 방언(충남).
 (제51회 S#2) : 달구, 명자, 양팔이 옥수수를 먹다가 춤을 추는 장면.
남달구 : 싸게 일나봐. 이왕 살라믄 치매도 안걸리고 신나게 오래 살으야지 암만.
경명자 : 그려, 까짓거, 한번 사는 인생 신나게 오래 살자니께.
달구, 명자 : 돌리고~ 돌리고~~ 돌리고~ 돌리고~~ 있씰 때 잘혀~ 그러니께 잘혀~
2) 경상도 방언 : 덕칠의 남편 수한이 사용하는 언어.
 (제13회 S#20, 제18회 S#64) ‘이바구’
구수한 : 긴 이바구 안한데이. 한마디만 해라.
니는 이제 우얄래? 우찌 살래? 우리 아들은 또 우짜노?
cf) 이바구[명사] : ‘이야기’의 방언(경상).

- 구성적 특징(대중문화)
2. 드라마의 배경과 우리 사회와의 관계 분석
: 텔레비전 드라마와 형식과 내용은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가치 및 요구들을 반영하고 설명하며 대중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텔레비전 드라마가 사회를 통해 수용되고 해석되는 방식 또한 그러한 시대적 배경이나 가치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텔레비전 드라마는 그 시대의 사회를 나름대로 해석하여 허구적으로 재구성한 사회문화적 구성물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고, 그 시기에 요구되는 사회적 담론을 구성하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 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것이 받아들여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에 ‘소문난 칠공주’ 라는 드라마도 그 예가 될 수 있다. 드라마는 그 재현적 특성으로 해당 시기의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 특정 담론의 형성에 기여하여 사회 문화적 현상의 변화, 대중에게 영향을 야기하는 매체로 이해 될 수 있다. 우리는 시대적 상황이 드라마에 어떻게 녹아들었고, 이를 반영한 드라마가 어떠한 흐름을 가지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참고문헌
-참고서적
박갑수(1996), 한국 방송 언어론, 서울: 집문당, p17
김승현, 한진만(2001), 한국 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서울:한울아카데미 pp12~13
-참고자료
세계일보 2006. 08. 29
서울=뉴시스 스포츠서울 2006.07.26
스포츠 서울 여군 56주년 맞이 ‘이모저모’
TV 리포트 2006. 07. 25
-참고사이트
http://kbs.co.kr/drama/chilgong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