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

 1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
 2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2
 3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3
 4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4
 5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5
 6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6
 7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7
 8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8
 9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9
 10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0
 11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1
 12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2
 13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3
 14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4
 15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5
 16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6
 17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7
 18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8
 19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19
 20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복지 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 모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반
정신분석이론모델
정신분석이론모델
1.개요
1)개념
행동이 인간 마음속의 움직임과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신이 행동을 자주하는 방식과, 정신과 행동이 인간 사회환경에 영향을 주고받는 방식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분석적이라고 불린다.
2)사회복지에 영향
사회복지에의 영향
사회복지에 있어 정신분석의 영향에 대한 최근의 평가는 폭넓게 인정되고 있으며, 또한 정신분석적 사고의 다양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은 정신분석학의 영향으로 자아심리학으로 발전하였으며, 독일 등의 지역에서는 자기심리학으로 발전하였다.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
개별사회사업(casework)의 실천과정에서 정신분석이론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
심리사회모델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9년 정신치료를 위한 이론으로 미국에 소개되면서 사회복지실천에 많은 영향을 주기 시작
1920년대에는 의료적 모델에 기초한 진단주의 학파를 태동시켰고,
1930년대에는 심리사회적 이론의 개별사회사업 모델로 확산되면서 현재까지도 사회복지실천의 중요한 이론적 토대
⑶정신분석이론 모델의 목적
①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현재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과거의 경험을 이해
②특히 무의식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성적 · 공격적인 충동을 이해하고
③클라이언트가 이러한 경험과 충동을 통찰력을 갖고 인식하고 현재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④정신분석이론에서 초점은 클라이언트의 현재 문제에 대한 치료적 처방보다는 클라이언트의 통찰력 또는 문제 인식 능력과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모델
2.이론적 배경-1
1) 구조적 관점
⑴프로이드의 자아의 구분
원초아(id)
출생시부터 타고난 것이며, 원시적이고 본능적이며, 정신에너지의 저장고이며, 전적으로 무의식에 속한다.
원초아는 성격의 기초이며,
기능과 분별력은 유아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id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쾌락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자아(ego)
이드(id)와 초자아(superego)를 중재
내부세계와 외부세계 사이에서의 기능이 잘 집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자아는 본능적 충동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대상과 방법이 발견될 때까지 정신에너지의 맹목적인 방출을 지연시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수용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될 때까지 긴장을 참아냄
실제적인 만족을 얻기 때문에 현실원리에 입각하여 작용한다.
초자아(superego)
-선악을 판단하는 것과 자아이상의 두 가지로 나뉜다.
-선악 판단의 기준으로 초자아는 금지의 개념이 강함
-자아이상은 동일시의 결과로 나타나 개인이 닮고 싶은 이상적인 모습들을 동일시한다.
-초자아의 일부는 사회의 도덕률이나 금기로 구성됨
-일부는 부모에게 받은 도덕 교육을 토대로 형성된 도덕관념으로 구성된다.
-외부세계의 대변자이기 때문에 사회원리를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정신분석이론모델
2.이론적 배경-2
2) 지형학적 관점-Freud
의식(conscious)
-현재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정신적 활동으로 현재 느끼거나 알 수 있는 모든 경험과 감각을 뜻한다.
전의식(preconscious)
현재는 의식되지 않지만 전에 의식했던 것이 저장된 것으로 주의집중을 통해 쉽게 의식될 수 있는 경험이라고 한다.
전의식은 무의식과 의식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영역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감당하지 못하는 충동이나 욕구들을 검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무의식(unconscious)
욕구나 본능이 깊게 자리하고 있는 영역
인식할 수 없고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도 없는 접근 불가능한 창고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능적인 역동, 성적본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족되지 않은 소망들이 담겨 있다.
3) 유전학적 관점
⑴개념
성격의 발달
-모든 본능이 근본적으로 성적인 것이라 주장
-성적인 욕구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성격발달 단계
1-3단계 :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
libido(리비도-성적에너지)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자리
특정 부위에서 만족을 추구한다.
이 특정부위는 연령에 따라 변화
각 발달 단계를 성공적으로 통과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도의 만족
고착
만족이 지나치게 과도한 에너지를 투입한 경우에는 고착(fixation)이 생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의 진행이 방해 받으면 고착이 생김
고착이 성인기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고착은 심리성적 발달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형상으로서 모든 사람은 어느 정도 고착되어있다.
고착된 에너지는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데 사용 될 수 없기 때문에 그 만큼 발달이 지장을 받고 불완전해지게 된다.
고착은 개인이 완전한 성장에 도달 할 수 있는 능력을 방해하게 된다.
부분적 고착(partial fixation)
부분적 고착은 개인이 비록 성인기에 도달하였을 지라도 부분적 고착과 연관된 행동으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말한다.
정신분석이론모델
2.이론적 배경-3
(1) 구강기(oral stage) : 출생 ~ 1세.
개념
생리적 쾌감을 주는 주 기관 즉, libido가 집중하는 부위는 구강 (입, 입술, 혀)이다.
영아의 libido는 구강 영역에 집중되며 빨기와 삼키기가 긴장을 감소시키고 쾌락을 성취하는 주된 전략이 된다.
이 시기에는 입, 입술, 혀, 잇몸 등을 자극하는데서 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빨고, 삼키고, 깨물면서 만족을 얻는다.
발달과정
출생 후 6개월 동안은 음식을 빨고 삼키는데서 쾌감을 느낌
6개월 후 이가 나면서부터는 이유의 좌절감을 깨무는 것으로 해소하며 쾌감을 얻는다.
Freud는 빨기는 생존에 필요한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 이외에 유아에게 또 다른 쾌락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배가 고프지 않아도 가짜 젖꼭지나 손가락을 빨게 된다 고 보았다.
구강기 전반기에는 유일한 접촉대상이 어머니이므로 어머니에게 합일하고 접근 하려는 경향이 있다.
과업의 성패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키지 못한 경우
Freud에 의하면 구강기 전반에 좌절 혹은 방임을 경험하면 구강 수동형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