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 Vico에서 찾을 수 있다(Glasersfeld, 조연주외 역, 1997). 비코는 ‘인간의 정신은 불확실한 본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지 못하는 것에 부딪히면 자신을 만물의 척도로 삼아 알지 못하는 일체를 판단한다’고 말하고 있다. 스스로 만물의 척도로 삼는다는 말은 인간 각자가 자신의 경험세계를 중심으로 삶
G. Herder. Philosophie Der Geschicte, 73쪽
“
: 헤르더는 튀르고, 콩도르세, 특히 볼테르가 발표한 ‘일직선적’ 진보 개념을 믿지 않았다. 이 계몽사상가들은 ‘더 훌륭한 덕’과 ‘인간 행복’으로의 진보가 이루어 진다고 믿었다. 그들은 이러한 관점에 서서 이것에 맞지 않는 역사적 사실들은 윤색하거
-참된 인식의 근원을 인간의 이성으로 보고, 참된 인식은 필연성과 타당성을 지녀야한다 경험론 : J. Locke, G. Berkeley, D. Hume
-새로운 것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경험이 밑바탕이 되고, 그 과정을 통하여 새롭게 구성
비판론 : Kant - 합리론과 경험론 모두 독단적이라 주장, 비판적으로 종합 제시
가. 객관주
구성주의 철학과
구성주의 심리학
1. 구성주의 철학
‘지식이 어떻게 생성되고 존재하는가’
합리론(이성론) : R. Descartes, Spinoza,
G. W. Leibniz
경험론 : J. Locke, G. Berkeley, D. Hume
비판론 : Kant
가. 객관주의(objectivism)
합리론적 입장
지식은 개인의 경험과는 무관하게 객관적으로 존재
인간의 사고는 기호
Ullmann의 의미 변화 이론과 그 적용(Ⅰ)
-The Principles of Semantics를 중심으로-
목차
서론
본론
의미 변화의 정의·성질·원인
1.1. 정의에 관하여
1.2. 성질에 관하여
(1) 의미 변화와 복의
(2) 의식적 및 무의식적, 의도적 및 비의도적 과정
(3) 점진성
1.3. 의미 변화의 궁극적 원인
의미변화의 분류
2.1. 논리·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