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

 1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
 2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2
 3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3
 4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4
 5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5
 6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6
 7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7
 8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8
 9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9
 10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0
 11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1
 12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2
 13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3
 14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4
 15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5
 16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6
 17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7
 18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제 시대 민족지의 사회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등 일제 시대에 발행된 민족지에 대한 평가는 세갈래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일제하의 두 신문을 문자 그대로 민족운동의 표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임근수 이해창 최 준 등 대부분의 전통적인 입장이 여기에 속한다. 이해창은 [동아일보]의 사명관을 분석하면서 이 신문을, 고난에 고난을 겪으면서 민족의식을 앙양하기 위하여 총독정치에 항거하였다고 평가하였다.(이해창,1972, p.76) 최준은 일제 하의 언론사적 의의를, 가혹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칠전팔기하여 착실한 민족 대변의 구실을 이룩하였고 낙후된 언론기관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등의 업적을 세운 시기로 평가하였다.(최준,1982, p.326) 임근수는 민족지의 일제 시대사를 투쟁과 계몽의 역사로 규정하면서, 한걸음 나아가 그것을 발행인의 공적으로 돌리고자 하였다. 그는 일제하의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 대해 언급하면서, "[독립신문]의 영광의 정신을 이어받은 두 민족지의 영광된 투쟁과 계몽의 발자취를 가능하게 한 것은 김성수 방응모 두분 선생의 크나큰 노력과 힘에 있었던 것" 이라고 하였다.(임근수,1984, p.257)
둘째로는 두 신문을 친일적 지주 또는 매판 자본가가 소유했던 친일 언론으로 규정하는 입장이다. 최민지의 연구가 이 입장을 대표한다. 그에 의하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일제의 동맹세력이며 충견일 뿐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일제는 조선 강점 후 그들에게 아부 굴종하는 토착 동맹세력을 찾아낼 필요가 있었고 나아가서는 그들의 충실한 충견을 육성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이 문화정치라는 이름 아래 일제가 추구 해온 회유의 실제적 내용으로 나타났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등 그들이 허가해준 민간언론도 처음에는 그것이 그들의 체제를 반대하지않는 한 아슬아슬한 한계까지 허용하여 자못 2천만 민중의 표현기관인양 민중들이 믿고 환호하게끔 기만하면서 차츰 정간과 압수 등의 행정처분과 사법처분 등의 과정을 거쳐 그들이 원하는 바 유용한 선전자, 대변자로 복무하게 된다.(최민지,1982, pp.357-358)
본문내용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등 일제 시대에 발행된 민족지에 대한 평가는 세갈래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는 일제하의 두 신문을 문자 그대로 민족운동의 표상으로 보는 관점이다. 임근수 이해창 최 준 등 대부분의 전통적인 입장이 여기에 속한다. 이해창은 [동아일보]의 사명관을 분석하면서 이 신문을, 고난에 고난을 겪으면서 민족의식을 앙양하기 위하여 총독정치에 항거하였다고 평가하였다.(이해창,1972, p.76) 최준은 일제 하의 언론사적 의의를, 가혹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칠전팔기하여 착실한 민족 대변의 구실을 이룩하였고 낙후된 언론기관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는 등의 업적을 세운 시기로 평가하였다.(최준,1982, p.326) 임근수는 민족지의 일제 시대사를 투쟁과 계몽의 역사로 규정하면서, 한걸음 나아가 그것을 발행인의 공적으로 돌리고자 하였다. 그는 일제하의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에 대해 언급하면서, "[독립신문]의 영광의 정신을 이어받은 두 민족지의 영광된 투쟁과 계몽의 발자취를 가능하게 한 것은 김성수 방응모 두분 선생의 크나큰 노력과 힘에 있었던 것" 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 김규환, ꡔ일제의 대한 언론 선전 정책ꡕ (이우출판사,1978)
* 김동규, 「일제하 언론과 농민운동에 관한 연구 - 농민지 조선농민을 중
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1985.
* 김민환, 「일제시대 언론사의 시기구분」 ꡔ언론과 사회ꡕ 1.(1993.4)
pp.46-66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사설 주제분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5.)
* ------, 「일제시대 민족지의 대외문제 인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5.)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정치문제 인식」 (최정호교수 화갑 논문집
ꡔ언론사상과 언론사ꡕ, 1993) pp.329-353
* ------, 「일제시대 민족지의 경제문제 인식」 (한국언론학회 학술발표
회, 1993.11.)
* ------, 「일제시대 민족지의 사회문제 인식」 (미발표, 1994.5.)
* 김현대, 「일제하 동아일보의 민족운동사적 고찰 - 문화정치 기간(1920
-1928)의 사설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7.8.
* 박찬승, ꡔ한국 근대정치사상사 연구ꡕ (역사비평사,1992)
* 배진한, 「1920년대 조선 ‧ 동아 두 신문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8.2.
* 서중석, ꡔ한국 현대민족운동 연구ꡕ (역사비평사,1991)
* 송정민, 「한국언론의 문화에 대한 인식-1920년대 ꡔ동아ꡕꡔ개벽ꡕ을 중심
으로」 ꡔ언론문화연구ꡕ 4.(서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