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

 1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
 2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2
 3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3
 4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4
 5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5
 6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6
 7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7
 8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8
 9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9
 10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0
 11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1
 12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2
 13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3
 14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4
 15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5
 16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6
 17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7
 18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8
 19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19
 20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커뮤니케이션]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왜 공공저널리즘인가?

【본론】
1. 공공 저널리즘의 개념 및 정의
1) 공공 저널리즘이란?

2. 공공저널리즘의 이론 배경
1) 미국 언론의 위기 상황
2) '공중(Public)' 관한 리프만과 듀우이의 논쟁
3) ‘공공영역(Public Sphere)’ 논의의 부활

3. 공공저널리즘과 지역 언론
1) 지역 언론의 특성
2) 지역 언론의 역할
3) 지역 언론의 새로운 방향으로서의 공공 저널리즘

4. 공공저널리즘의 특징
1) 프로젝트 진행방식
(1) 사전준비단계 : 지역문제 탐색
(2) 이슈조사 및 선정
2) 공공저널리즘 기사의 형식과 특성

5. 미국의 공공저널리즘 성공적 사례
1) ‘샬롯 옵서버(The Charlotte Observer)’
2) ‘위스콘신의 우리 시민들(We the people, Wisconsin)’

6. 공공저널리즘에 대한 비판

7. 한국 언론에서 공공저널리즘의 수용 가능성
1) 한국적 수용의 전제
2) 한국 언론에 공공저널리즘이 왜 필요한가?
3) 적용가능 분야
4) 수용 시 유념사항 및 선결 과제
5) 한국의 온라인 공공저널리즘

【결론】
본문내용
【서론】

왜 공공저널리즘인가?

오늘날 우리나라의 언론, 특히 신문 산업은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1990년대 들어 무리한 증면 및 독자확보를 위한 과당경쟁, 무가지의 등장, 윤전기 등에 대한 신규 과잉투자, 과다한 차입경영, 재벌 또는 개인에 의한 소유 집중에 기인하는 비합리적 경영 등으로 신문 산업의 경영위기는 언론의 사회적 존립 근거 자체를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 또한 과거 수십 년간 한국의 언론매체들은 공정성 결여, 중앙집중식 보도행태, 전문성의 빈곤, 질적 저하 등으로 인해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병폐 중의 하나로 비판받아 왔다. 더군다나 어느 나라보다도 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한 신문 산업의 환경 변화가 큰 한국에서는 인쇄신문의 저장성과 방송의 속보성을 겸비한 인터넷 뉴스매체의 대중화 경향은 현재의 인쇄신문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한계 및 도전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독자의 외면과 수익의 감소로 인해 위기감을 갖게 된 신문 경영진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의 신문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했던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또 다른 논의가 시작된 것이 바로 1980년대부터 ‘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의 실현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원래 공공논의를 증진시키고 공적 생활을 운영하기 위해 시민들과 연결을 시도하는 새로운 저널리즘의 형태로 공동체 연계 보도, 혹은 시민저널리즘이라고도 부른다.

공공저널리즘은 언론을 언론으로 존재 규정하는 본질적 요소, 즉 공공성 또는 공익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취재 및 보도 자세, 시각 등의 개혁을 촉구하는 언론운동이자 새로운 언론 모형 내지 관행이다. 공공/시민저널리즘은 단순히 저널리즘 프로젝트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저널리즘 문화, 저널리스트의 역할, 그리고 저널리즘의 지향점 등의 질적 변화를 수반하는 총체적인 저널리즘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본조는 본론을 통해 공공저널리즘의 개념과 배경, 특성, 미국의 사례 등의 분석을 통해 한국 언론과의 차이점과 한국에서의 공공저널리즘 수용 가능성에 대해 타진해보고, 가능하다면 어떤 분야에 적용할 것인가, 혹은 어떤 분야에서 이미 적용되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앞으로의 과제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김민남, 공공저널리즘과 한국 언론 - 언론과 공동체의 새로운 모색, Communication Books, 1998』
『김민남, “언론매체와 지역사회”, 한국 언론학회편, ‘언론학원론’, 범우사, 1996』
『안병길, 시민 속의 언론, 공공저널리즘, Communication Books, 2003』
『허친스위원회, 김택환 옮김, 자유롭고 책임있는 언론, Communication Books, 2004』
『김택환, ‘시민저널리즘 이론과 실천’, 삼성언론재단, 태평로포럼 발표논문』
『김병철・최영, 사이버한국외국어데 언론홍보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시민기자 제도 도입에 따른 인터넷 신문의 시민 저널리즘 실천 가능성에 관한 연구, 2004』
『윤태진・강내원, 온라인신문에 나타난 공공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인스닷컴’, ‘인 터넷한겨레’, ‘오마이뉴스’의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1』
『Jay Rosen, "Behind Public Journalism," in AMPE Leadership Report : Public Journalism-What It means. Who Is Practicing It, How It Is Done』
『Jay Rosen, What are Journalists for?, New Haven and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1999』
『Edward M. Fouhy, "Is Civic Journalism is Answer?", Communicator, 1996』
『Report from "Times Mirror Center for the People and the Press", Washington, D.C., 1995』
『Davis B. Merritt, "The Misconception About Public Journalism", Editor and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