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

 1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1
 2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2
 3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3
 4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4
 5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5
 6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6
 7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7
 8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8
 9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9
 10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10
 11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11
 12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12
 13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흥보전]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흥부전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1) 흥부전 소개
*창작배경
*줄거리 및 주제
*등장인물 소개 및 특징

2) 흥부전의 해학과 풍자
*해학, 풍자의 정의 및 역할
*흥부전의 해학과 풍자

2. 조선후기 사회상 및 가치관의 변화

1) 조선후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2)가치관의 변화
*농민의 역량 성장
*서민의식의 성장

3. 흥부전의 의의

1) 조선후기 사회에 비추어 본 작품의 의의

2)작품의 현대적 의의
본문내용
1. 흥부전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

(1)흥부전 소개
1) 흥부전의 배경 - 공간적 배경은 형제간의 갈등과 화합이 이루어지는 충청, 전라, 경상 3도의 어름과 경제적, 윤리적 모순의 극복을 가능케 해주는 제비국이 설정되고 있다. 시간적 배경은 연대기적 순서에 의한 영원한 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사상적 배경은 전통적 유교사상에 불교와 도교의 사상이 가미되고 있다.
2) 흥부전의 인물
①놀부 - 놀부라면 우리는 무조건 악한 인물로 알아왔다. 이는 고대로부터 이 소설로, 혹은 창(唱)으로 불리어져 우리 몸에 젖어오는 동안 직감적으로 느껴온 연유도 있겠으나, 선학자들의 피상적인 고증의 영향도 무시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를 좀더 연구해 보면 놀부의 인성은 작자의 의도적인 심술의 묘사로서, 독자로 하여금 해학을 통한 카타르시스적인 효과를 위해 부자연스러울만큼 길게 나열된 과장적 수법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놀부를 ‘악’으로 간주하기에 앞서 심술궂은 사람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런 행동들은 놀부의 천성에서 오는 것일뿐 자기 이익을 위하여 남을 해하고 자신의 영달을 얻고자하는 그런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적당한 말로 표현한다면 ‘심술’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심술도 악의 일종일 수는 있겠으나 엄밀하게 구분한다면 악은 상대방에게 해를 입히고 자기에게 이익이 되어야 하는데 놀부는 그런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 이처럼 과장된 성격묘사는 고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인데, 막연한 악이라기보다는 웃음을 자아내기 위한 장난같은 행동 혹은 제스츄어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②흥부 - 흥부는 형제간의 우애를 생명보다 중시하려는 조선 봉건 유교사회의 전형적인 인물이다. 또한 부모 유산을 형이 다 차지하고 빈손으로 쫓겨나온 흥부는 끼니를 잇지 못하여 가난에 허덕이나, 형의 재산에 대해 질투도 시기도 저주도 하지 않는 선량한 인물로 묘사된다. 이를 방증하는 구절을 찾아보면
“놀보집 들어가며 전후좌우 도라보니 압노격 뒤노격 멍의노격 살로격 담불담불 싸앗스니 흥부에 어진 마음 질겁기 측량업건만......”
하지만 자신의 가난을 스스로 타개하려 들지 않고, 모든 것을 운명에 맡기고 있다는 점에서 생에 대해 소극적이며 나태하고 무기력한 인물의 모습또한 가지고 있다. 흥부의 빈(貧)은 청빈낙도(淸貧樂道)의 사상에서가 아니라 어쩔 수 없는 빈(貧)이었다. 흥부의 무력과 무능을 ‘청백(淸白)’에 비유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흥부가 하는 말에
“이박 한통 타거덜낭 금은보패가 나옵소셔”
위에서 흥부를 ‘청백(淸白)’에 비유할 수 없음이 드러난다. 그는 부(富)를 부러워했으나 무능, 무력해서 어쩔수 없는 빈(貧)이었음을 알 수
하고 싶은 말
a+ 받은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