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

 1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1
 2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2
 3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3
 4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4
 5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5
 6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6
 7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7
 8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8
 9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판소리][흥부전]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성격,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의 유파, 흥부전의 내용, 흥부전의 주제, 흥부전의 이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판소리의 개념

Ⅲ. 판소리의 성격

Ⅳ. 판소리의 역사

Ⅴ. 판소리의 유파
1. 동편제(東便制)
2. 서편제
3. 중고제
4. 강산제

Ⅵ. 흥부전의 내용

Ⅶ. 흥부전의 주제

Ⅷ. 흥부전의 이본
1. 창본계
1) 신재효본
2) 이선유본
3) 박동진본
2. 필사본계
1) 사재동본(A)
2) 사재동본(B)
3) 오영순본
3. 경판본계
1) 경판 25장본․20장본
2) 김문기본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흥부전󰡕은 규슈대학 소장 󰡔興甫伝󰡕을 이용한다. 󰡔흥부전󰡕의 이본은 현재 밝혀져 있는 것만 해도 37종을 넘는다. 그 작품 군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판소리 창본계와 소설본계가 된다. 그리고 소설본계는 다시, 목판계(방각본)․필사본․구활자본으로 나뉘어 지며, 그 중에서 목판본에는 경판 25장본과 경판 20장본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경판 25장본을 텍스트로 선정한 이유는, 현재 남아있는 󰡔흥부전󰡕의 판본으로서 경판 25장본을 1860년경 간행이라고 추정하여 가장 오래된 작품이라고 보는 견해에 필자는 동의했기 때문이다. 큐슈대학 소장본이 바로 이 경판 25장본에 속한다.
사각(私刻)의 목판본인 방각본(坊刻本)은 17세기에 출현하기 시작했으나, 방각본소설의 전성기는 1860년대부터라고 여겨진다. 영리를 도모하므로, 판매실적이 불안한 신작을 추가하기보다는 기존 작품을 전국적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골까지 보급하고, 저변의 독자까지 애독하게 만드는데 힘을 기울였다. 판소리 󰡔흥부전󰡕도 18세기 중반 성립하여 광대에 의해 애창되어 오던 것이, 방각본이라고 하는 형태로 소설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유명한 작품만이 방각본 소설이 될 수 있었으나, 방각본이 됨으로써 더욱더 베스트셀러화 한다고 하는 특수한 사정을 엿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상생활로부터 잠시라도 벗어나 즐길 수 있는 한 가지 수단으로서 에도인은 여행을 조선인은 판소리를 동시기에 향유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병국, 구비서사시로서 본 판소리 사설의 구성 방식, 한국학보 제27집, 일지사, 1982
김태준, 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16), 판소리 유파, 서울 : 문화재관리국, 1992
유광수, 흥부전연구, 계명문화사, 1993
임형택, 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문화비평 4호, 1969
정충권, 과 성조신앙, 의 관련성과 그 의미, 구비문학연구1, 한국구비문학회,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