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

 1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1
 2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2
 3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3
 4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4
 5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의미론] 선어말어미 -오,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선어말어미 ‘-오/우-’의 구별

2. 용언의 활용에 따른 ‘-오/우-’의 기능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5세기 국어에서 나타나는 선어말어미 ‘-오/우-’는 중세국어 연구에서 일찍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그것은 하나의 설명 방법만으로는 포괄되지 않는 예외적인 현상들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이루어진 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를 보면, 의미․화용론적 접근을 시도한 의도법설이나 통사론적 접근을 통한 인칭․대상설이 선어말어미 ‘-오/우-’의 실제 활용을 설명하기에 적합하다고 보여 진다.
먼저 의미론적 입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오/우-’가 화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서법으로서의 문법적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 손주일 (1979 : p.5-6)
으로 보고 있다. 특히『국어사개설』에 따르면 이 선어말어미는 의도법(意圖法) 어미로서, 사실의 객관적 진술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주관적 의도가 가미된 동작, 또는 상태의 진술에 사용되었다. 또한 설명문의 서술어에서는 화자의 의도를, 의문문의 서술어에서는 청자의 의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통사론적 입장에서는 선어말어미 ‘-오-’가 음성모음으로 된 어간 뒤에서는 ‘-우-’로 교체되어 사용되며 종결형과 연결형, 관형사형에서 형태소의 자격을 얻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경우 ‘-오/우-’의 삽입어형을 비교해보아서 통합관계의 기준을 만족시키는가의 여부에 따라 형태소로서의 선어말어미 ‘-오/우-’와 형태소의 일부분으로의 ‘오/우’를 구별하여 두고, 그 활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때 어느 접근법도 ‘-오/-우’의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는 못한다. 그러나 ‘-오/우-’의 기능변별에 있어서 주의할 것은 그 출현여부가 통사구조에 영향을 미치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것이다.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발견되면 통사론적 현상이요, 그렇지 않으면 의미론의 관심사가 되는 것인데, 예외적 용법이 많기는 하지만 ‘-오/우-’의 삽입 여하는 통사구조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통사론적으로 접근하는 길이 온당해 보인다. 고영근 (1983 : p.86-87)
그러므로 이 보고서에서는 통사론적 입장을 취하기로 하고 『표준 중세국어문법론』의 논지를 준하여 선어말어미 ‘-오/우-’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고영근(1983), 『國語文法의 硏究 : 그 어제와 오늘』, (탑출판사, 서울).
고영근(2002), 『개정판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집문당, 서울).
박덕유(1999), 『中世國語講解』, (한국문화사, 서울).
손주일(1979), 『15세기 국어의 선어말어미 「-오/-우」에 대한 통사론적 연구』, (서강대학교 : 석사).
이기문(1998), 『國語史槪說』, (태학사, 서울).
이관규(1999), 『학교 문법론』, (도서출판 월인, 서울).
전정례(1991), 「선어말어미 ‘-오-’의 소멸과 통사변화」, (한국언어학회 : 『언어학』제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