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 1920년대 희곡사

 1  [희곡] 1920년대 희곡사-1
 2  [희곡] 1920년대 희곡사-2
 3  [희곡] 1920년대 희곡사-3
 4  [희곡] 1920년대 희곡사-4
 5  [희곡] 1920년대 희곡사-5
 6  [희곡] 1920년대 희곡사-6
 7  [희곡] 1920년대 희곡사-7
 8  [희곡] 1920년대 희곡사-8
 9  [희곡] 1920년대 희곡사-9
 10  [희곡] 1920년대 희곡사-10
 11  [희곡] 1920년대 희곡사-11
 12  [희곡] 1920년대 희곡사-12
 13  [희곡] 1920년대 희곡사-13
 14  [희곡] 1920년대 희곡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희곡] 1920년대 희곡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920년대의 시대적 성격과 근대극의 출발
1) 1920년대의 시대적 성격
2) 근대극 운동의 전개 양상
(1) 학생극 운동
(2) 신극운동
(3) 이념극 운동
2. 대표적 작가와 그의 작품
1) 김우진(1897~1926)
2) 김우진의 작품
3. 한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20년대 전반기는, 희곡장르가 전문 극작가집단에 의해 식민지 사회의 기능론적 목적 지향적 문화전략으로 창작되면서 전문 연극인집단과 관객집단의 등장에 의해 개화기 신파극에서 근대 신극으로 교체되는 시기이다. 김소은, 「한국 근대 연극과 희곡의 형성과정 및 배경연구」,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7~8쪽

이 시기에는 전문 극작가, 연출가, 배우, 희곡적 체재의 구비 등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대사 위주의 연극 공연이 지배적으로 자리 잡아 간다. 근대적 연극 형태 기준의 근거를 대사 전달과 배우의 행동성과 같은 것에 두면서 근대적 연극 체재는 확보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근대 연극의 논의는 희곡을 대본으로 갖춘 형태로 의미화 되면서 본격적인 근대적 연극 개념의 틀을 확보하였고 다른 문학과 예술과 변별된 자질로서 존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작품분석, 작가에 대한 연구, 연극 운동론 등 다 층화된 형태로 논의가 시도되면서 1920년대 이후의 연극 연구는 활발해졌고 유용한 업적들이 양산되었다. 김소은, 위의 책, 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