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

 1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
 2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2
 3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3
 4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4
 5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5
 6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6
 7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7
 8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8
 9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9
 10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0
 11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1
 12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2
 13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3
 14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4
 15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5
 16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6
 17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7
 18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8
 19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19
 20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반도대운하 담론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한반도대운하 사업 소개

2.1. 한반도대운하 사업 개요
2.2. 한반도대운하 사업 전개 과정
2.3. 한반도대운하 사업의 주요 찬반 논리
2.3.1. 찬성 단체의 논리
2.3.2. 반대 단체의 논리

3. 한반도대운하사업 주장 분류 및 분석

3.1.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Greimas' semiotic Square)
3.2.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사각형을 이용한 한반도대운하 사업 주장 분류

4. 환경 담론

4.1 생태권위주의
4.2 녹색낭만주의
4.3 녹색 합리주의
4.4. 지속가능한 발전론

5. 이해관계자들의 환경담론

5.1. 녹색낭만주의
5.1.1. 여성환경연대
5.1.2. 운하백지화 종교환경회의
5.2. 녹색 낭만주의와 녹색 합리주의 사이
5.2.1. 녹색연합
5.3. 녹색합리주의
5.3.1 전국교수모임
5.3.2. 진보신당
5.3.3. 민주노동당
5.4. 녹색 합리주의와 지속가능한 발전론의 사이
5.4.1. 환경운동연합
5.5. 지속가능발전론
5.5.1. 창조한국당
5.5.2. 대운하반대시민연합
5.5.3. 한나라당(한반도대운하) & 한반도대운하 연구회 & 통합민주당
5.6. 한반도대운하 이해관계자의 담론 Mapping

6. 결론 및 제언- 당위를 넘어선 초록당(혹은 녹색당)의 가능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 연구의 배경과 목적

‘한반도 대운하’는 지난 17대 대선 과정에서 이명박 현 대통령의 주요 공약으로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그 실행 여부를 둘러싸고 소모적인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사안이다. 운하 건설의 타당성 및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비민주성을 이유로 야당과 시민 ․ 환경 단체들을 비롯하여 심지어 한나라당 내부에서까지 날 선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음에도, 이명박 대통령은 줄곧 사업 강행 의지를 표명해왔다. 이달(6월)에 접어들어 광우병 쇠고기 정국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정부는 대운하 건설 관련 논의를 잠정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반대 진영에서 주장해 왔던 사업 백지화 방침과는 무관하기에 언제든 다시 논란이 격화될 가능성은 잔존해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대운하’사업의 옳고 그름에 대한 문제를 떠나, 해당 쟁점을 둘러싸고 서로 대립, 연대하고 있는 논쟁 참여 단체들의 상이한 속성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한반도 대운하’논란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단순하지 않고, 논의에 참여하는 개별 조직들의 문제 인식이나 이해관계 역시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을 일괄적으로 찬성 혹은 반대의 진영에 위치시키는 것은 당면한 문제를 올바로 이해하고 해결을 모색함에 있어 적절하지 않은 대응일 수 있다.
내부에 다양한 쟁점들이 존재하지만, ‘한반도 대운하’사업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환경담론의 차이로 설명해낼 수 있다. 여기서 환경 담론은 현재의 산업사회, 자본주의 사회의 맥락속에서 환경이 결부된 제반 문제들을 바라보는 공동의 방식을 의미한다. 환경문제를 유발하거나, 해결을 모색하는 것 모두 특정 조직의 일관된 가치관 내지는 세계관, 문제의 특성에 대한 인식과 처방 논리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고, 이번 쟁점 역시 그러하다. 사업 반대를 주장하는 진영 내부에만도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얽혀 있고, 다양한 가치 체계들이 경합하고 있다. 이는 반대진영이 다양한 사람들의 이해와 가치를 포괄하여 사업 반대에 대한 공감대를 확보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사안의 성격이 조금만 변화하더라도 이러한 연대가 붕괴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바꾸어 말하면, 현재는 같은 진영에 위
참고문헌
구도완, 2006, “한국 환경운동의 담론”, 경제와 사회 통권 제69호, pp.128-153

김종철, 1999, 간디의 물레, 녹색 평론사.

문순홍, 2001, 『한국의 여성환경운동(그 역사, 주체, 그리고 운동유형들)』, 아르케.

, 2002, “특집 : 생태.환경담론을 생각한다-서구 생태 패러다임의 등장과 그 분화”., 과학사상 제41호, pp. 21-42.

윤용택, 1999, “환경철학의 한 대안으로서 확장된 인간중심주의”, 대동철학 제5집 pp.185-209

정규호, 2002,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제에서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 - 녹색서울시민위원회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주요섭, 2001, 동도동기의 한국적 환경 담론을 위한 시론, '생명 담론'을 중심으로, 환경과 생명 통권 29호, pp. 119-131.

진상현, 2005, “환경담론을 통한 제언:'생태적 민주주의' 서평” ECO 2005년 하반기 제9호, pp.181-191.

최종덕, 2002, “특집:생태. 환경담론을 생각한다-우리 현실에서 본 생태론 이야기-누현과 추유의대화”, 과학사상 제41호, pp. 117-132.

홍성태, 2001, “주요 환경 매체에 드러난 환경 담론의 특징-[녹색평론], [함께 사는길], [환경과 생명]의 비교 검토”, 환경과 생명 통권 29호, pp. 132-143.

barry, J., 1999, Rethinking Green Politics: Nature, Virtue and Progress, London: Sage Pub

F.Carpra, 1991, 『신과학과 영성의 시대』, 김재희 옮김, 서울 : 법양사, 1997.

John S. Dryzek., 2005.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정승진 옮김, 서울:에코리브르.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

여성환경연대 http://ecofem.or.kr

운하백지화 종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