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이승만과 김구

 1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
 2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2
 3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3
 4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4
 5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5
 6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6
 7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7
 8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8
 9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9
 10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0
 11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1
 12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2
 13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3
 14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4
 15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5
 16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6
 17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7
 18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8
 19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19
 20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이승만과 김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해방 후 정치 흐름(김구와 이승만을 중심으로)
Ⅱ. 본론
1.미국과 한반도
2.친일잔재 미청산
3. 이승만의 남한단정론
1) 동경 회합
2) 단정발언
3) 밀약설
4) 단정실현
4. 김구와 임시정부
5. 좌우합작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2008년 현재 우리나라는 남북분단이라는 비극으로 인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다양한 분야에 있어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러한 비극이 있게 한 우리나라 근대사는 2가지 큰 사건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사건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배이다. 30여 년간의 식민지배로 인해 언어와 전통 등의 민족문화는 말살되다시피 하였고, 근대적인 발전을 이끌어 나갈 민족역량은 일본의 발전을 위한, 전쟁을 위한 기지화 되어 수탈되었으며, 기형적인 경제구조가 형성되어 버렸다. 두 번째는 해방 후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6.25전쟁을 겪었다는 것이다. 1945년 8월 15일 해방된 이후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5년간 우리민족은 사상과 이념간의 갈등으로 혼란된 정국을 하나의 역량으로 근대적인 민족발전으로 이끌지 못한 채, 남은 이승만의 단독정부가 들어서고 북은 김일성의 북조선인민공화국이 들어섰다.
우리는 역사상 수많은 외침을 받으면서도 고려 이후 천년에 가까운 시간동안 단일 국가를 지켜왔으나 불행하게도 현재는 세계에서 몇 개 안되는 분단된 나라 중에 하나가 되었다. 왜 우리는 선조들이 긴 시간동안 지켜온 단일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분단이 될 수 밖에 없었을까. 왜 우리는 통일된 한국으로서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설 수 있었음에도 그 기회를 놓치고 만 것일까.
이 승 만
1875년 : 3월 26일 황해도 평산 출생
1895년 : 배재학당 수학
1898년 : 독립협회 사건으로 7년간 옥고
1904년 : 석방, 도미
1910년 : 미 프린스턴 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1919년 : 상해임시정부 대통령 취임
1921년 : 임정 대통령 사임 후 미국에서
독자적 독립운동
1945년 : 귀국,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총재
1948년 : 재헌 국회의장, 초대 대통령 취임
1948년 - 1960년 : 1-3대 대통령 역임
1960년 4.19 학생의거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사임을 수락함, 하와이 망명
1965년 서거
김 구
1876년 7월 11일 황해도 해주 출생
1893 : 동학 입교
1895 : 명성황후 시해한 일본군살해 후 사형 선고
1910 : 신민회 참가
1911 : 105인 사건으로 체포 17년 형 선고
1919 : 3.1운동 후 상하이로 망명
1926 : 결사단체인 한인애국단 조직
1932 : 이봉창, 윤봉길등의 의거를 지휘
1933 : 난징에 한국인 무관학교 설치
1935 : 한국 국민당 조직
1940 :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설치
1944 :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1948 : 유엔한국위원단 면담에서 단독선거 반대
1949. 06.26 : 경교장에서 안두희에게 암살
1962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우리가 분단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여러 가지 원인 중에서 한 가지는 바로 해방직후 분열된 정치를 통일 시키지 못한 것이다. 여기서는 해방 후 5년간 김구와 이승만의 활동에 주목하여, 이승만의 남한단정론과 친일잔재 미청산, 김구의 임정을 통한 정부의 수립노력을 통해 해방 후 혼란스러웠던 정치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해방 후 정치 흐름 도표>

1.해방 후 정치 흐름(김구와 이승만을 중심으로)

해방 후 한반도 남한 내의 정치상황은 너무나도 복잡하다. 1945년 8월 해방이 되어 1948년 8월 남한단독정부가 세워지기 전까지 3개월이라는 기간 동안에 너무도 많은 정치단체들이 여러 가지 목적 하에 만들어지고 사라지기를 반복하였다. 특히 김구와 이승만은 서로 지향하는 정부는 다르면서도 정치적 목적 하에 단체를 합치고 갈라서는 행동을 많이 보여주게 된다.

미국이 한반도 남에 주둔을 하면서 자신들이 통치하기 전에 있던 모든 정치단체를 인정하지 않자 해외의 주요나라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한 임시정부의 김구 역시 임시정부의 수장이 아닌 개인자격으로 입국을 하게 된다. 김구는 한반도에 입국을 하고나서 과도정부를 수립하고자 비상정치회의를 열어 이를 기반으로 비상국민회의를 만들려고 한다. 그리고 비상국민회의에 이승만의 독립촉성중앙위원회도 참여한다. 한국민족주의와 남북관계, 도진순, 64쪽
그러나 이승만과 미군정의 계략에 의해

비상국민회의 정무위원 28인 모두가 민주의원이 되면서 비상국민회의는 미군정의 자문위원단의 성격으로 바뀌게 된다.

제 1차 미소공위가 실패로 끝나자 미국무부에서는 민주의원의 용도폐기 논란이 일어났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