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

 1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
 2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2
 3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3
 4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4
 5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5
 6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6
 7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7
 8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8
 9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9
 10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0
 11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1
 12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2
 13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3
 14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4
 15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5
 16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6
 17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7
 18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8
 19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19
 20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미술역사] 고려 전기 미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 전기의 역사와 시대배경


2. 고려청자


3. 나전칠기


4. 서예


5. 불교 미술


6. 고려불화


7. 고려시대 회화


8. 고려전기 미술문화

본문내용
3) 왕권의 안정과 북진정책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였지만 아직 왕권이 안정되지 않은 불안한 상태였다. 삼국통일에 공을 세운 지방 호족들이 개인군사를 거느리고 임금에 버금가는 세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에 태조는 호족들의 세력을 왕권 아래 묶어두기 위하여 이들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였다. 그 수가 29명에 달하였다. 외가가 여러 집안이 되자 이번에는 자식들이 외척을 등에 업고 왕위다툼을 벌일 것에 대비하여 이복 남매끼리 결혼을 시켰다. 한편 개경의 벼슬자리에 오른 지방호족에게 사심관이란 지위를 주어 세력이 약한 호족들을 감독케하는가 하면 기인제도라 하여 지방호족의 자식을 개경에 불러 머무르게 하였다. 이처럼 지방호족의 세력이 막강했던 고려초기는 호족들의 연합정권이었으며 왕은 그 연합의 대표자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항상 배신과 반란을 두려워하였다. 따라서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지방 호족의 세력을 꺾어야 했으며 이는 초기 고려왕실의 최대 과제가 아닐 수 없었다.
943년 태조가 세상을 떠나자 왕위를 노린 반란과 음모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2대 혜종을 몇 차례나 암살하려 한 왕규의 난을 비롯하여 3대 정종에 이르는 6년 동안은 호족들의 세력이 왕실을 뒤흔들던 혼란과 불안의 시대였다.
왕권이 제대로 안정된 것은 4대 광종때다. 광종은 956년에 노비 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들이 거느리고 있던 노비 일부를 양인신분으로 바꾸어 주었다. 이것은 호족들의 세력을 약하게 만들려는 조처였다. 당시 노비들은 호족들의 개인군사노릇을 하였으며 경제력을 키우는 기반이었다.
958년 광종 9년에는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로 과거를 실시하였다. 이는 호족 출신의 공신들 대신 학문에 밝고 충성심이 높은 새로운 관리를 뽐아 왕권을 튼튼히 하려는 데 있었다.. 960년에는 관복을 정하여 관료체제를 갖추었으며 광덕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성을 내보이기도 하였다.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고구려의 옛 땅을 되찾기 위한 북진정책을 폈다. 그래서 발해를 무너뜨린 거란과는 국교를 트지 않았으며 발해 유민이 고려로 망명을 요청해 오자 재빨리 받아 들였다. 고려는 또한 고구려의 서울이던 평양을 서경이라 하여 북방 개척의 전진 기지로 삼아, 태조 말년에는 북쪽 국경이 청천강에서 영흥 지방에 이르게 되었다.

4) 제반제도의 정비

고려는 성종때 와서야 정치, 사회 제도가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 중앙의 행정제도로 중서문하성, 상서성, 6부, 중추원, 3사 등을 두었다. 고려의 가장 큰 권력은 중서문하성의 재신들과 중추원의 추밀들이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국가의 모든 일은 재신과 추밀들의 회의에서 만장일치제로 의결하였다. 이 재추회의를 도병마사라 하였다. 도병마사는 국방에 관한 문제까지 담당했고 재신과 추신은 법률제정기관인 식목도감의 구성원이기도 했다. 이처럼 고려는 재추를 중심으로 움직였으며 귀족인 이들이 여러 관직을 겸했던 것은 고려가 귀족중심의 사회였음을 말해준다. 지방제도로는 전국에 12목을 설치하여 건국이후 처음으로 중앙에서 내려 보낸 관리로 지방을 다스렸다. (현종 때 5도 양계의 지방제도가 완비되었다.) 군사제도는 중앙에 2군 6위, 지방에 주현군으로 정비하였다. 이는 임금을 중심으로 한 중앙조정의 권위가 확고히 뿌리 내렸음을 뜻한다.
성종은 사회복지에도 힘을 기울였다. 992년에는 국자감을 설치하여 교육을 장려하였다 그러는 한편 의창(흉년이 들었을 때 곡식을 빌려주는 곳), 상평창(물가조절을 위해 곡식을 저장하는 곳을 설치하였고, 동
참고문헌
1. 고려 전기의 역사와 시대배경
한국사 홈페이지 http://www.chollian.net/~toaya/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2. 고려청자
"고려 청자"(정양모 저, 대원사)
"우리 옛 도자기"(윤용이 저, 대원사)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윤용이 저, 학고재)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083

3. 나전칠기 및 서예
그림1) 이환추(李桓樞),
‘광조사진철대사보월승공탑비명’(廣照寺眞澈大師寶月乘空塔碑銘) 부분, 937년
그림2) 김생의 집자비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
그림3)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명(雙谿寺眞鑑禪師大空塔碑銘) 두전(頭篆), 탁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그림4) 청평산문수사시장경비(淸平山文殊寺施藏經碑) 제액(題額), 개인소장
그림5) 백현례(白玄禮), ‘봉선홍경사갈기’(奉先弘慶寺碣記) 전액(篆額)과 본문 부분, 1026년
NAVER 사전, 박씨상방(http://www.koreasang.co.kr/ ),
KBS 뉴스 ‘천년의 빛’ 고려시대 나전칠기, 경향신문 서예가 열전.

3. 불교 미술

관촉사석 조보살상 http://blog.naver.com/seongho0805?Redirect=Log&logNo=150010397426
덕주사 마애불 http://blog.naver.com/jongheunlim?Redirect=Log&logNo=50014681807
한송사 석조보살좌상 http://blog.naver.com/wkdud41/20003480312
불일사 5층석탑 http://nemo.naver.com/NemoView.nhn?nemoid=47052&imageid=1
현화사 7층석탑 http://blog.naver.com/tiger6107/140013181024

4. 고려불화 및 회화

ㆍ고려와 중국의 오대, 송과의 교류 기록
「고려 미술의 대외 교섭」박은순 외(2004), 중 ‘고려시대 회화의 대외교섭 양상’
오백나한도 http://cafe.naver.com/qkqhchlrh.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80
몽유도원도 http://blog.naver.com/delphis?Redirect=Log&logNo=19327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