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

 1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
 2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2
 3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3
 4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4
 5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5
 6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6
 7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7
 8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8
 9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9
 10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0
 11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1
 12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2
 13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3
 14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4
 15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5
 16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6
 17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7
 18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8
 19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19
 20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와 의사소통 -왕문용 지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3) 신체언어의 유형
4) 신체언어와 문화
5) 남녀 사이의 신체언어
2. 왜 문제가 일어나는가 6) 신체언어의 활용
1) 들어가는말
2) 언어와 문화 8. 대화의 기술
3) 청자의 언어로 말하기 1) 대화의 진행
4) 콩꺼풀 2) 협력과 공손
5) 국어능력과 삶의 질 3) 효과적인 표현
4) 올바른 이해
3. 언어와 사고
1) 언어 상대주의 가설 9. 국어화용론과 의사소통
2) 사고 우위의 관점 1) 발화와 담화
3) 언어와 사고 2) 조응
4) 언어의 세계와 실제 세계 3) 전제와 함의
4) 화용상의 암시와 간접화행
4. 의사소통의 원리
1)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10. 소설에 나타난 여성화자의 상대높임법
2) 의사소통 과정의 요소 1) 상대높임법의 분석
3) 언어의 본질과 의사소통 2) 상대높임법의 전환
4) 언어의 기능과 의사소통 3) 결론
5) 의사소통의 원리
6) 국어능력과 의사소통 11. 매체언어
1) 언어와 매체
5. 언어와 문화 2) 표현의 정확성 분석
1) 저런 미친놈 3) 신문의 매체언어 분석
2) 성장기의 언어 4) 결론
3) 국어와 문화
4) 국어의 호칭어와 지칭어 12. 맺는말
6. 성별방언 1) 소통 매체로서의 언어
1) 단어 2) 결국 사람됨이 문제
2) 발화
3) 서로 다른 발화 목적 : 과묵과 다변 4) 대화 방법
7. 신체언어
1) 동물과 신체언어
2) 신체언어와 의사소통
본문내용
의사소통이란 영어의 communication에 해당되는 용어입니다. 이 말은 원래 共有 또는 共通의 뜻을 지닌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 간단히 해석하면 송신자와 수신자가 지식, 정보, 신념, 감정 등을 공유하거나 공통화 하는 행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에는 한 사람 이상이 관여하며 수신자가 어떤 반응을 보이기 전에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송신자가 기호를 전달하고 수신자가 반응을 보이는 것이 의사소통입니다. 이렇기 때문에 의사소통은 양방향의 과정입니다.

2) 의사소통 과정의 요소

의사소통은 하나의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의사소통의 과정은 언어기호를 사용하는 과정으로 송신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언어 기호화하여 전달하면 그것을 수신자가 해독하여 이해하고 그에 반응을 보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 내재하는 각각의 항목, 곧 송신자, 메시지, 매체, 수신자, 반응 등이 의사소통 과정에 관련되는 주요 요소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과정에 나타나는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의사소통이 어떻게 일어나는 것인가를 좀 더 고찰하기로 합니다.
송신자는 의사소통의 행위자를 의미하는데 그 나름대로의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행합니다. 송신자가 의사소통을 행하는 것은 수신자의 어떤 반응을 기대하는 것이므로 수신자의 속성에 맞추어 다양하게 내용을 표현하게 됩니다.
메시지는 송신자가 전달하려는 내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생각이나 느낌이 언어기호로 표출된 것입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내용이 기호로 표출된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내용이라도 조직이나 배열에서 전혀 다룰 수도 있습니다.
곧 송신자가 보낸 메시지는 사실 자체가 아니라 사실 자체를 언어기호로 바꾼 것이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조직이나 배열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사실과는 거리가 있는 메시지가 되기도 합니다.
의사소통에서의 매체는 주로 문자와 음성과 동작입니다. 국어의 의사소통에 주로 관여하는 것은 이러한 매체 언어들입니다.
매체 언어로 보내진 메시지를 인지, 이해, 해석하는 것이 수신자이다. 수신자는 메시지를 그대로 수용만 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심리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과거의 경험과 결부시켜 추리하면서 송신자의 여러 속성(태도, 문화, 성격 등등)의 영향을 받아 메시지를 수용하게 됩니다.
반응(결과)은 의사소통의 효과를 나타내는 측정치가 될 수 있음을 앞에서 말하였습니다. 송신자가 의도한 대로 반응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전혀 상반 되는 반응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이외의 다른 요인들도 모두 관련되어 의사소통은 복잡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대화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화자는 어떤 메시지를 기호화 할 경우 위의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다양하게 기호로 바꿉니다.

3) 언어의 본질과 의사소통

언어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하든 언어가 의사소통의 도구라는 점을 부인 할 수는 없습니다.

언어가 의사소통의 도구라 함은 언어가 의사소통의 기호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기호는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 하여야 올바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학자들은 언어의 본질을 다양하게 정의 하지만 라이온즈(1981)에서는 언어의 본질을 자의성, 이원성, 분리성, 창조성을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러한 언어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아도 의사소통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자의성이란 언어 기호의 내용과 표현 사이에 절대적인 필연적인 관계가 없다는 언어의 본질적인 성격입니다.
이원성이란 흔히 이중분절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음소와 형태소의 두 가지 기본적인 요소로
참고문헌

姜 瑋(1986) 東文字母分解, 필사본.
권덕규(1923) 朝鮮語文經緯, 曠文社
권보상(1909) 國文硏究, 필사본.
구현정(1995) “남성형-여성형 어휘의 형태와 의미 연구,” -국어학25
구현정(1997) 대화의 기법, 한국문화사.
국문연구소(1909) 國文硏究所 報告書, 필사본
김경동(1978) “복지 사회의 발전 사회학적 이론,” 韓國社會學12.
김대행(1997) “영국의 문학교육,” 국어교육연구 제4집
김명운(1996) 현대국어 청자대우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서울대 석사 학위 논문.
김민수(1984) 國語政策論, 탑출판사.
김민수(1984) 國語學史의 基本理解, 집문당.
김일병(2000) 국어합성어연구, 역락.
김일병(2005) 국어과 교수 학습의 실제, 박이정
김윤경(1954) 韓國文字 及 語學史, 동국문화사.
김진우(1994) 언어와 의사소통, 한신문화사.
김진우(2004) 언어, 탑출판사
김창우(1935) “子母의 이름을 보고,” 한글 3-7
김판남(1935) “한글 자모의 이름,” 한글 3-1
김형규(1974) 한국방언연구, 서울대출판부
남기심, 이정민, 이홍배(1997) 언어학 개론, 탑출판사.
노명완(1988) 國語敎育論, 한샘.
리봉운(1987) 정음문전, 조선정음부활회.
문교부(1988) 편수자료 Ⅱ-4(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민현식(1988) “국어의 여성어 연구,” 아세아 연구34.(숙명여대)
박갑수(1992) “방송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새국어생활(국립국어연구원)2-2
박갑수(1984) 국어의 의 表理과 諄化論, 진학사.
박승빈(1937) 簡易朝鮮文法, 조선어학연구회
박영목(1996) 국어 이해론, 법인문화사
박영목, 한철우, 윤희원(1996) 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박용익(2001) 대화분석론, 박이정
방종현(1948) 訓民正音通史, 一成堂 書店.
방종현(1932) “ㄱ,ㄴ,ㄷ,의 稱虎,” 朝鮮語文學會報 4. 일사국어학논집(1964,민중서관)에서 재인용.
박창원 외(1999) 언어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태학사.
성기철(1985)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성기철(2007) 한국어 대우법과 한국어 교육, 글누림.
송경숙(2002)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손영애(1984)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국제 동향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손시용(1909) 國文硏究, 필사본
신경준(1750) 訓民正音韻解, 필사본
신영철(1935) “無用의 論을 삼가라,” 한글3-5
어윤적(1909) 國文硏究, 필사본
왕문용(1975) 國民敎 1,2年生의 作文 文章考, 서울대 석사학위논문(서울대 국어교육과)
왕문용, 민현식(1993) 국어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왕문용(1998) “한글 자모 명칭의 유래에 대한 고찰,” 국어 교육96.
왕문용(1999) “의사소통 기능 교육의 국어학적 원리,” 국어교육 99.
왕문용, 이성영(1999) 신문, 방송을 활용한 국어과의 理解 교육 연구, 한국교원대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왕문용(2000) 여자의말, 남자의말 그리고 의사소통, 강원대출판부.
왕문용(2002) “한글 자음의 명칭 개정을 제안함,” 국어교육 108.
왕문용(2004) “국어능력과 삶의 질,” 국어교육 113.
왕문용(2007) “문학 교가서 소설 속 여성화자의 높임법,”국어교육 122.
왕한석(1986) “국어 청자 존대어 체계의 기술을 위한 방법론적 검토,”어학연구(서울대)22-3
유길준(1909) 大韓文典, 同文館 인쇄.
유희(1824) 諺文志, 필사본.
윤동구(1909) 國文硏究, 필사본.
이경우(2003) “국어 경어법 변화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110
이규호(1983) 말의힘. 제일출판사.
이기문(1970) 開化期의 國文硏究, 일조각
이기문(1971) 訓蒙字會硏究, 서울대출판부
이능화(1909) 國文硏究, 필사본.
이대규(1995) 수사학, 신구출판사.
이병혁(1993) 한국 사회와 언어사회학, 나남.
이상춘(1925) 朝鮮語文法, 松南書館.
이석규, 김선희(1992) 남성어, 여성어에 관한 연구, 어문학 연구2(목원대)
이석규(2007) 언어의 예술, 글누림.
이석주(1998) “현대국어 표현양상,” 국어교육98
이성법(2001)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사
이원표(2001)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이용주(1972) 국어의미론 개설, 서울대출판부
이용주(1975) “國語敎育에 있어서의 本質과 非本質,” 師大論文集12. (서울대)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믿음사.
이정민 교수의‘한국어의 표준어 및 방언들 사이의 상호 접촉과 태도’(한글 174, 1981)
이정민(1981) “한국어의 표준어 및 방언들 사이의 상호 접촉 연구,” 한글 173-174어우름
이정복(1992) 경어법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국어연구109
이주행(1992) “광고언어의 문제,” 어문논집(중앙대)22.
이창덕 외(2000) 삶과 화법, 박이정.
이희승, 안병희(1994)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임홍빈(1993) “국어의 여성어,”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지성사.
장경희(1992) “광고언어의 유형과 특성,” 새국어생활2-2
장석진(1985) 話用論硏究, 탑출판사
전몽우(1936) “子母 이름에 對하야,” 한글 4-1
전재호(19610 “韓國子母 명칭에 대한 몇 가지 問題.” 국어국문학24.
조선어학회(1933) 한글 맞춤법 통일안, 조선어학회.
조선희(1977) 역, 어리숫한 척 남자부려먹기, 황금가지
주세형(2006)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연락
주시경(1909) 國文硏究, 필사본
주시경(1910) 국어문법, 박문서관
주시경(1914) 말의 소리, 新文館
지석영(1905) 新訂國文, 官報 3200
지석영(1909) 국문연구, 필사본
차배근(0973) “공신력의 개념과 그 영향에 관한 小考,” 신문연구소학보(서울대)10집
차배근(1985) 커뮤니케이션學槪論, 세영사.
차배근(1996) 화법, 지학사
최영환(1995) “언어능력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지식’ 영역의 지도내용,”
최현배(1942) 국어교육연구2(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최형인 편(1998) 한글갈, 정음사
한길(1991) 영화같은 사랑 연극 같은 이별-영화, 연극으로 보는 20세기 결혼과 이별, 청하출판사.
홍기문(1946) 正音發達史, 서울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