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

 1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1
 2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2
 3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3
 4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4
 5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5
 6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6
 7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7
 8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8
 9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9
 10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로서의 도교 연구 -도교적 속성이 가미된 웰빙(well-being)문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
2. 도교란 무엇인가.
3. 문화속의 도교
3-1 음양오행(陰陽五行)
3-2 태극권(太極拳)
3-3 한의학(韓醫學)
3-4 풍수지리(風水地理)
4. 나오며 -
본문내용
도가 사상이 참자유를 추구하는 것에 반해 민간 종교로서의 도교는 육체적 생명을 최대한 연장하고 죽음을 맛보지 않는 육체적 불멸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종교 전통이다. 건강과 장수를 얻으려는 열망이 표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원래의 도가가 종교적인 형태로 변형된 대표적인 사례로서 한나라 초기의 황로학파와 한나라 말기의 오두미교를 들 수 있다. 황로학파란 황제(법가사상의 시초)와 노자(도가사상의 시초)를 기반으로 나타난 것으로 중국 고대의 전설적인 임금인 황제와 함께 노자를 숭배하였다. 이수석, 『교과서를 만든 철학자들』. 글담출판사. 2006, p. 45.
황로학파에서는 무위정치, 일부러 하지 않는 정치, 깨끗한 정치, 청정무위의 정치를 지향하였기 때문에 도교윤리를 정치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음으로 오두미교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위진남북조 초기 혼란기인 한나라 말기의 오두미교는 쌀 5말을 내야 가입할 수 있는 데에서 그 이름이 기원하였다. 오두미교에서는 악행을 모든 병의 원인으로 보았으며 따라서 착한 일을 하면 모든 병도 없고 늙지도 않는다는 불로불사를 주장하였다. 도교를 창립했다고 알려지는 장도릉에 의해서 창립된 종교이기도 하다. 그는 노자의 사상뿐 아니라 오행(五行), 신선(神仙), 양생(養生), 무술(巫術), 치병(治病) 등에 관련된 사상을 종합하여 종교적 목표가 ‘불로장생’하는 신선이 되는 것이라 하였다. 오강남, 『세계 종교 둘러보기』, 현암사, 2008, pp. 170-171.
이는 서민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도교윤리를 종교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마지막으로 위진남북조시대의 현학파는 우주의 원리, 철학, 예술, 초월적 세계를 지향하였다. 노자와 장자의 도가사상을 철학적(형이상학적)으로 계승한 학파이다. 현학(玄學)이란, 심오한 문제(천지 만물의 존재 근거, 형이상학적 본체론)를 토론하는 학문으로, 현학자들은 노자, 장자, 주역을 삼현(三玄)이라 하여 중요시하였다. 그들은 눈앞의 현실세계는 인간의 고정관념에 의한 것이고, 참되고 진실한 세계는 인간의 고정관념을 초월한 無의 세계라고 주장하면서 은둔(隱遁)과 청담(淸談)을 강조하였다. 현학자들은 죽림(竹林)에 숨어살면서 세속을 초월한 우주론적 최고 원리의 경지를 토론하는 청담을 즐겼으며, 또한 세속적인 가치를 초월한 철학적이고 예술적인 사유와 가치를 중시하였는데, 죽림칠현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는 도교윤리를 철학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도교는 도가사상에 그 근원을 두고 있으나 도가 사상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 목적이 전혀 다른 신선사상으로 변질되거나 새로이 다른 사상들과 결합하면서 나타났다.

한나라 초기의 황로학파
도교윤리를 정치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
한나라 말기의 오두미교
도교윤리를 종교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
위진남북조시대의 현학파
도교윤리를 철학적으로 계승했다는 평가



도교는 여러 파와 복잡한 혼합 사상을 가지고 있다. 도교의 신계보를 처음 만든 도홍경의 신계보에 따르면 원시천존이 최고신격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酒井忠夫 외, 최준식 옮김, 『도교란 무엇인가』, 민족사, 1990, p. 113.
이외에도 도교에서는
참고문헌

오강남, 세계 종교 둘러보기, 현암사, 2008.
이수석, 교과서를 만든 철학자들. 글담출판사. 2006.
酒井忠夫 외, 최준식 옮김, 도교란 무엇인가, 민족사, 1990.
박성래(1992). 한국인의 전통적 과학 탐구 정신; 현대 과학문명과의 관계. 신실학의 탐구. 서울:열린책들.
김주환, 지형학, 동국대출판부, p29.
장정환, 청오경, 미래출판사, 2007, p98~99.
윤태현, 주역과 오행연구, 식물추장, 2002, p125.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p129.
우리 문화와 음양오행, 권오호, 교보문고, 1996
우리 땅 우리 풍수, 김두규, 동학사, 1998
땅속 명당 땅밖 풍수, 김용학, 동학사, 2002
태극권 강좌, 이찬, 하남출판사, 199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