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

 1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1
 2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2
 3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3
 4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4
 5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5
 6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6
 7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7
 8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8
 9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9
 10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문제] 공존에 관하여-에코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들어가는 말

1. '여성과 환경'문제의 논점

2. '여성과 환경'운동의 유형별 사례
2-1) 서구에서의 생태여성론 운동
2-2) 제3세계에서의 여성을 중심으로 한 개발 반대 운동
2-3) 대안적 소비자운동
2-4) 여성들을 바꾼 '체르노빌 사건'
2-5) 여성과 환경에 관한 국제적 연대
2-6) 한국에서의 여성과 환경 운동

3. 맺음말- '에코' '페미니즘'으로서의 가능성
본문내용
0. 들어가는 말

조원들끼리 첫 모임이 있었던 날이었다. 발표 주제와 방식에 대해서 서로의 아이디어를 주고받던 도중에 누군가가 슬그머니, 그러나 야심에 찬 제안을 한 가지 해 왔다. "'에코 페미니즘'이라는 말을 아시나요." 수업의 전체적인 강의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았지만, 무슨 이유에서였는지 그 자리에서 우리는 '에코 페미니즘'이라는 다소 생소한 주제를 가지고 매우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 내고 있었다. 그러던 도중 한 사람이 인도에서 일어났던 '칩꼬 운동'이라는 사건에 대해 말을 꺼냈고, 그것을 계기로 조원들의 토론 주제는 서서히 넓어지기 시작했다. 환경 보호나 보존의 당위성에 대한 내용은 개인적으로는 물론이거니와 이미 전사회적으로도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터라 굳이 접근하려 하지는 않았다. 다만 우리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는 바로 '공존'과 '화합'이라는 환경 문제를 바라보는 근본적인 시각에 관한 것이었다. 추상적인, 너무나도 추상적인 이 두 단어를 두고 우리들은, 이 개념을 경험적인 방식으로 강의를 수강하는 동료들 앞에서 전달할 수 있는 발표를 하자는 쪽으로 중지를 모았다. 그것은 환경 문제에 접근하는 근본적인 사고 방식을 새롭게 환기시키고자 했던 조원들의 바람이었으며, 그로 인해 발표를 하는 조원들도 발표를 듣는 동료들도 다 함께 '공존'과 '화합'이라는 큰 틀 속에서 환경 문제를 바라볼 수 있었으면 하는 조원들의 기대였다.
그리고 이제는 보고서에서 본 조의 문제 의식의 출발점이었던 '에코 페미니즘'으로 다시금 돌아와 그 이론적인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에코 페미니즘을 둘러싼 특히 어려운 논점 중에 하나는 여성과 자연 사이의 관련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였다. 즉, 여성은 본질적으로 자연에 가까운 존재인가, 아니면 사회적으로 가정 내에서의 지위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보다 생태적인 사고방식을 할 수 있게 된 것인가. 대체 여성들이 보다 생태주의적인 감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이 옳기는 한가, 여성들 사이의 계층, 계급적 차이를 무시할 수는 없지 않은가. 그러나, 우리는 이런 문제에 대하여 즉, 여성과 자연 사이의 연관성에 대하여 철학적 내지는 심리학적 분석을 시도하지 않기로 하였다.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이 문제를 다룬다면 결국 여성과 자연에 관한 본질주의와 구조주의 사이의 대결을 벗어날 방법이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보고서에서는 에코 페미니즘의 대표적 학자이자 운동가들인 마리아 미스(Maria Mies)와 반다나 시바(Bandana Shiva)의 통찰을 빌어 에코 페미니즘의 근본적인 문제 의식과 이론적 배경, 그리고 에코 페미니즘이 던지는 화두들에 대해서 우선 다루어 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현실 운동에서 여성과 환경 관련 논의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좀 더 비중을 두고 살펴보았다. 이는 세계적인 추세를 우선 대략적으로 살펴 본 후, 국내의 상황 전개에 대한 고찰로 연결될 것이다. 세계적으로 에코 페미니즘을 표방하는 운동은 이미 70년대부터 있어 왔지만, 국내의 에코 페미니즘 운동은 '여성 환경 연대'라는 이름으로 99년에야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어쩌면 태동기라 할 수 있는 국내의 에코 페미니즘 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설정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본론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결론 부분에서는 현재의 여성 운동 중심적인 '에코 '페미니즘''이 어떠한 방식으로 환경 운동으로서의 저변을 넓혀 나가 ''에코' 페미니즘'으로도 기능할 수 있을 지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수업의 전체적인 주제와 관련성을 찾고자 했다.

1. '여성과 환경'문제의 논점

환경 및 개발 문제와 여성간에 어떤 특수한 관련성이 있는가 라는 문제는 이미 서구에서는 '여성과 환경, 지속 가능한 개발'(women,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WED)에 관한 논의라 하여 여성학의 중요한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이 논의는 70년대에 여성운동과 환경운동이 신사회운동의 주요한 흐름으로 성장하면서, 양자가 자연스럽게 서로의 공통점을 의식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두 운동이 인식을 공유하는 부분, 즉 남성과는 달리 여성이 환경과 맺는 특별한 관련성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문제는 여성문제와 마찬가지로 지배와 복종이라는 남성 중심적인 이분법적 문화에서 연유한다는 점이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모태로 보지 못하고 정복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은 남성주의적이라는 점에서 여성을 억압의 대상으로 보는 시각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다. 남성들이 주도하는 인간활동으로 인해 환경이 억압받는 일은 인류 역사를 통하여 계속 있어 왔던 것이지만, 특히 자본주의 시대에 들어와 엄청난 속도로 가속화·대형화되어 왔다. 자본주의는 약한 상대를 이분법적으로 대상화해(남
참고문헌
·문순홍, 「생태 여성론의 이론적 분화 과정과 한국 사회에의 적용」,『여성과 사회』, 제7호, 창작과비평사, 1996.
·이진아, 「문제의 시각과 운동 동향」,『여성과 사회』, 제7호, 1996.
·마리아 미스, 반다나 시바 (M.Mies & V. Shiva), 『에코 페미니즘』(Ecofeminism), 창작과 비평사, 2000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 외,『여성과 환경 그리고 지속 가능한 개발』(Women,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wards a Theroretical Synthesis), 도서 출판 나라사랑, 1995.
·한국 여성 민우회·한국 여성 연구회 공동 심포지엄 자료집,『여성과 환경』, 1995.
·함께 하는 시민 행동,「소비자 운동은 20세기의 위대한 발명」,『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 민 단체』, 1999.
·여성 환경 연대 홈페이지 http://www.ecofe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