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무가, 설화

 1  [국문학] 무가, 설화-1
 2  [국문학] 무가, 설화-2
 3  [국문학] 무가, 설화-3
 4  [국문학] 무가, 설화-4
 5  [국문학] 무가, 설화-5
 6  [국문학] 무가, 설화-6
 7  [국문학] 무가, 설화-7
 8  [국문학] 무가, 설화-8
 9  [국문학] 무가, 설화-9
 10  [국문학] 무가, 설화-10
 11  [국문학] 무가, 설화-11
 12  [국문학] 무가, 설화-12
 13  [국문학] 무가, 설화-13
 14  [국문학] 무가, 설화-14
 15  [국문학] 무가, 설화-15
 16  [국문학] 무가, 설화-16
 17  [국문학] 무가, 설화-17
 18  [국문학] 무가, 설화-18
 19  [국문학] 무가, 설화-19
 20  [국문학] 무가, 설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무가, 설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무가
2-1. 무가의 개념
2-2. 무가의 형성과 전개
2-3. 무가의 특성
2-4. 무가의 장르
2-5. 무가와 다른 장르
3. 설화
3-1. 설화의 개념 및 특징
3-2. 신화
3-3. 전설
3-4. 민담
본문내용
2-2. 무가의 형성과 전개
(1) 무가의 형성과 전개 황경숙 외, 『한국구비문학론』, 새문사, 2003, 178-179쪽.

우리나라는 상고시대에 동북아시아의 무속문화권에 속해 있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의 조선인 예맥족과 한족이 이 땅에 이주․정착할 때부터 부족장이 사제권을 가지고 국중 대회(나라굿)에서 제의를 주관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부여의 영고 ․ 고구려의 동맹 ․ 예의 무천 ․ 한의 농공시필기의 제의가 그런 것이라 이해된다.
이 제의에서 주제자인 부족장은 천신이나 지신 또는 조상신에게 추수에 대한 감사와 이듬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내용이 담긴 서사무가를 불렀고, 고대국가가 형성되면서 시조묘(始祖廟)나 신묘(神廟)를 세우고 국조에 대한 신성성의 부여와 위업의 칭송을 위해 무속신화를 창작하여 묘제 때 불렀던 것이 국조신화요 건국서사시라 추정된다. 그 뒤 사제권이 정치권에서 분리되면서 국무에 의해 종묘 제의에서 국조신화가 전승되다가 불교의 수용과 국교화 및 유교의 수용과 국교화 및 유교의 수용과 사직단의 설치로 말미암아 국무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당시 풍요와 제액초복의 제의에서 불리어지던 서사무가의 몇 편과 국조신화만이 겨우 전승되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문헌상으로 전하는 무가로는 고려 이전의 것으로 「구지가」․「해가」․「처용가」등이 있는데, 이들 무가는 단형으로 설화 속에 삽입되어 있고, 고려조로부터 조선조까지에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에서 불려진 「처용가」를 비롯하여, 『시용향악보』에 실려 전하는 단형무가인 「성황반」․「내당」․「대왕반」‧「잡처용」․「삼성대왕」․「군마대왕」․「대국」․「구천」․「별대왕」등이 있다.

(2) 무가의 쇠퇴
이처럼 고대부터 우리 민족과 함께 했던 무가는 오늘날은 일상생활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 뿐만 아니라, 매체에서 비춰지는 무속의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국문학의 한 갈래라기보다는 무당이 부르는 미신적 내용의 노래로 치부 되고 있다. 그렇다면 무가가 이토록 쇠퇴하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이것은 무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무’의 쇠퇴와 깊은 관련이 있다.
조선왕조의 성립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무와 한국 문화는 급격한 변화를 거쳐 문제 상황에 빠져 왔다. 그 시대배경은 조선조와 일제 강점기와 해방이후로 나누어진다. 조흥윤, 「무(巫) 문화의 이해」,『아시아문화』,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0, 229-230쪽


① 조선시대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확정하고 무와 불교를 탄압하였다. 무당은 천민으로 취급되었다. 다종교 공존의 전통이 여기서 크게 일그러지고 만다. 뿐만 아니라 성리학이라는 것도 중국의 것을 내세운 것이라 주체적 문화의식이 점점 상실되어 갔다. 예컨대 고대 이래 고려조까지의 하늘 굿 문화전통이 양반관료층의 반대로 끊어져 버렸다. 중국의 천자만이 하늘에 제사지내고 조선은 제후국이기에 종묘․사직에 제사지낼 뿐이라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었다. 아울러 마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