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

 1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1
 2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2
 3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3
 4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4
 5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5
 6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전설, 민담 - 구비문학이란, 개념과 증거물, 구조, 성격, 세계관
  • [민속문학] 민속문학의 현재적 존재 양상
  • [한국의 민속] 민속문학 - 구비문학과 대중문화(구비문학 설명, 특징, 대중문화, 영화의 신화적 요소)
  • [구비문학] 전설 민담
  • 구비문학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문자를 쓰지 않는 구비문학이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본인의 생각을 작성하시오
  • (방통대 2017-1) 한국의 전설 자료 1편과 민담 자료 1편을 선택(총 2편)하여 자료를 소개하고 각각의 자료들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시오.
  • [구비문학론]한국의 전설 자료 1편과 민담 자료 1편을 선택하여 자료를 소개하고 각각의 자료들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고찰하시오.
  • [구비문학][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특징]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특징, 구비문학의 발달, 구비문학의 위상, 구비문학의 가치
  • [민속][민속문학][민속예술][전통예술][민속축제][민속놀이][전통놀이][민속화][민속극][민속춤][문학][예술][축제]민속문학, 민속예술(전통예술), 민속축제, 민속놀이(전통놀이), 민속화, 민속극, 민속춤 분석
  •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
  • 소개글
    [구비문학][구비문학 정의][구비문학 의의][구비문학 기능][구비문학 역사][구비문학 경향][구전문학]구비문학의 정의, 구비문학의 의의, 구비문학의 기능, 구비문학의 역사, 구비문학의 경향(구비문학 기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구비문학의 정의

    Ⅲ. 구비문학의 의의

    Ⅳ. 구비문학의 기능

    Ⅴ. 구비문학의 역사

    Ⅵ. 구비문학의 경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구비문학과 민속문학이라고 했을 때, 국문학과 민속학에서 드러나는 것만큼 선명하게 구분되는 무엇이 있는가? 그 구체적인 하위범주가 차이 나는가? 설화, 민요, 민요, 판소리, 무가, 민속극, 속담과 수수께끼까지 해서 별반 다를 게 없다. 그렇다면 굳이 대상을 다르게 부르는 것이 그다지 긴요한가 하는 생각이다. 다만 구분해 두어야 할 것은 민속학에서는 위에서 든 구비문학(민속문학) 뿐 아니라 이름, 호칭, 욕설, 인사말, 속신어, 민속어휘에까지 걸친 더 포괄적인 언어전승(구비전승)과 언어생활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단, 두 학문이 공유하는 구비문학을 문제 삼을 때 긴요한 것은 이것을 국문학과 민속학에서 각각 어떻게 연구해야 그 학문적 정체성과 목적에 바람직한가 하는 물음이다. 소박하게 답해 보자면, ‘문학인 동시에 민속’인 구비문학을 문학에서는 궁극적으로 문학으로서 연구하고, 민속학에서는 궁극적으로 민속으로서 연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문학인 동시에 민속인 실체성을 각각 살리자면, 문학에서는 ‘민속인 문학’을, 민속학에서는 ‘문학인 민속’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문학인가 민속인가의 문제, 또는 문학으로 보는 것과 민속으로 보는 것의 문제는 말처럼 그렇게 간단치 않다. 또한 문학인 동시에 민속으로 보는 것이 실제 연구에서 가능할까 의문이다.

    민속문학을 함께 다루어도 국문학의 입장과 민속학의 입장은 같지 않을 수 있다. 국문학은 구비문학을 기록문학에 관련시켜 다루고, 민속학은 구비전승을 행위전승과 관련시켜 다루는 것이 당연한 차이점이기도 하다. 가령 민요의 율격을 시조의 율격과 함께 분석하고, 설화의 소설화를 문제 삼는 것은 국문학의 과제이다. 민요의 세시풍속적 기능을 따지고 설화에 나타난 민간신앙적 발상을 추적하는 것은 민속학의 과제이다. 그 뿐만 아니라, 국문학은 작품의 구조와 주제를 다루는 데 앞서게 마련이다. 이렇게 하는 데서 방법론의 차이도 생긴다. 그러나 국문학의 방법과 민속학의 방법은 계속 교류되고 서로 영향과 자극을 주고받을 필요가 있다. 민속학적 방법에 의한 문학연구도 가능하고, 문학적 방법에 의한 민속연구도 가능한 것이다.

    Ⅱ. 구비문학의 정의

    구비 문학(口碑文學)은 문자로 씌어진 기록 문학과는 달리 입으로 전해오는 문학으로, 구전 문학(口傳文學), 유동 문학(流動文學), 표박 문학(漂剝文學), 적층 문학(績層文學), 부동 문학(浮動文學) 등으로도 불려진다. ‘말로 된 비석’, 곧 비석에 새긴 것처럼 유형화하여 전해진다 하여 ‘구비’란 말을 쓰며,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등이 이에 속한다.
    참고문헌
    * 나경수, 구비문학교육의 필요성과 효용, 남도민속학회, 1995
    * 송혜원, 사례를 통한 구비문학 조사 방법의 고찰, 연세대학교, 2004
    * 서대석, 구비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1994
    * 손태도, 2009년도 구비문학 분야 연구동향 ,국어국문학회, 2010
    * 장석규, 구비 문학 교육의 효용론, 한국구비문학회, 1999
    * 최원오, 구비문학 관련 강좌의 실태조사 보고, 한국구비문학회,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