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

 1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1
 2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2
 3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3
 4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4
 5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5
 6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6
 7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음악의 이해] 판소리의 올바른 이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판소리란 무엇인가?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3. 판소리 공연의 진행형태
4. 판소리의 3가지 구성요소
5. 판소리의 추임새
6. 고수의 역할
7. 판소리의 기원
8. 판소리의 최초 기록
9. 판소리의 문화적 가치
10. 판소리의 장단
11. 판소리의 유파



본문내용
1.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가 부채를 들고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를 갖춘 이야기를 창과 아니리를 섞어가며 연행하되, 너름새를 곁들여 표현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연행예술이다. 창자는 보통 목청을 조절하고 청중의 호응 파악과 주의 집중을 위하여 먼저 짧은 노래인 단가를 부른 다음에 본사가인 판소리를 부르는데, 소리판의 사정에 따라 하나의 작품 전체를 부르기도 하고, 특정한 부분만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판소리 한바탕을 완창하는 것은 특별한 경우에나 있었고, 대부분의 경우는 자신의 집중적인 공력을 기울여 특장으로 삼은 대목만을 청중앞에서 토막으로 연행하는 방식이었다. 고수는 자리에 앉아서 북 반주를 담당하고 창자의 연행 사이사이에 적절한 추임새를 넣어 창자와 청중의 흥을 돋우고 창자를 이끌거나 상대역을 담당하기도 한다. 청중은 서양 성약 공연시 일방적 감상 방식과는 달리 연행의 감상도중에 창자와 고수를 북돋우는 추임새를 함으로써 고수와 마찬가지로 연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쌍방향의 교감으로 소리판을 고조시키고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겪이 높은 청중들을 귀명창이라 한다. 이렇게 볼때 소리판에서는 창자, 고수, 청중이 삼위일체가 되어 호흡함으로써 성공적인 판소리 연행이 가능한 것이다.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판소리라는 명칭은 판과 소리가 결합된 말이다. 판소리를 가리키는데 쓰인 용어는 소리, 광대소리, 타령, 잡가, 극가, 창악, 창극, 창곡조, 우희 등으로 일컬어 오다가 현재에는 판소리라는 명칭으로 굳어졌다. 판은 다수가 모여 어떤일을 벌이는 곳이나 정황, 행위 자체를 뜻하고, 소리는 음악을 뜻한다. 따라서 판소리는 다수의 청중이 모인 판놀음에서 불리는 성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렇게 판의 소리로 보는 것이 일방적이지만 판이 중국에서는 악조를 의미하는 것에 주목하여 변화있는 악조로 구성된 판창, 즉 판을 짜서 부르는 소리로 보는 주장도 있다. 판소리는 본해 국악의 한 용어지만, 그 판소리 사설의 중요성 때문에 국문학의 한 장르 용어로도 쓰이고 있다. 판소리의 기원에 대해서는 시각을 달리하는 여러 학설이 있는데, 이는 판소리가 지닌 문학, 음악, 연극의 종합예술적 성격에 기인한다. 판소리의 발생설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① 문장체 선행설
② 설화기원설
③ 광대 소학지회 기원설
④ 중국의 강창문학 영향설
⑤ 서사무가 기원설
⑥ 명창 기원설
⑦ 창우집단 기원설
그런데 판소리가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구비서사시인 점에서 서사무가와 관련이 깊고, 또한 우리나라 남부 지역의 세습무 가계에서 판소리 명창들이 다수 배출되었다는 점을 통해 볼때, 위의 기원설 가운데 서사무가 기원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할 수 있다.

하고 싶은 말
목차 그대로 정리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