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

 1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
 2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2
 3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3
 4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4
 5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5
 6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6
 7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7
 8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8
 9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9
 10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0
 11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1
 12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2
 13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3
 14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4
 15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5
 16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6
 17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7
 18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8
 19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19
 20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민주적 교실환경을 이용한 도덕과 수업 보고서
  • [미국 미디어교육][미디어교육]미디어교육의 의미,목표,중요성, 미국 미디어교육의 특성,현황, 미국 미디어교육의 관련단체,법적지원
  • [통일교육]통일교육의 의미,이념,목적, 통일교육과 제7차교육과정,체험학습,금강산관광, 통일교육의 현안, 통일교육의 구체화 방안
  • [사회과 교육과정]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변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배경, 개정중점,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 강조점, 제언
  • [참교육]참교육의 특성, 참교육의 가치, 참교육의 지향, 참교육의 실천지표, 참교육의 정체성혼란, 참교육의 확립 방안 분석
  • [인권][민주주의][NGO][시민단체][비정부기구][통일교육][통일][시민]인권의 개념, 인권의 역사, 인권의 민주주의, 인권의 현황, 인권의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 인권의 통일교육, 향후 인권의 제고 방안 분석
  • [교육사] 서양 고대와 중세의 교육
  • [교육학] 청소년 통일 대비교육 프로그램에 관하여ok
  • [유아교육사상가][유아교육철학]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피히테,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프뢰벨과 듀이, 유아교육사상가 몬테소리
  • [민주주의교육론]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고등학교 사회 및 정치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소개글
    [민주주의 교육론] 시민교육으로써의 통일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통일과 통일교육의 필요성
    1. 통일의 개념과 통일의 필요성
    2. 학교 통일교육의 필요성


    Ⅲ. 학교 통일교육의 현황 및 문제
    1. 학교 통일교육의 현황
    2. 학교 통일교육의 문제점


    Ⅳ. 외국 통일교육의 방향 및 시사점
    1. 독일의 통일교육 및 시사점
    1) 통일 전의 독일 통일 교육
    2) 통일 후의 독일 사회통합 교육
    3) 독일 교육 사례를 통한 시사점
    2. 미국의 사회통합시민교육 및 시사점
    1) 미국 사회통합교육의 방향
    2) 미국 사회통합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

    Ⅴ.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나아갈 방향
    1. 통일교육의 개선방안
    2. 효과적인 통일교육 수업사례

    Ⅵ. 결론



    ※ 참고문헌
    ※ 별첨
    본문내용
    2. 미국의 사회통합교육 및 시사점

    남한과 북한은 분단 된 채 서로 교류 없이 단절된 60여 년의 세월을 보냈다. 더욱이 각 국가엔 서로 극이 전혀 다른 체제가 발전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 두 나라 간의 사상적, 문화적 괴리감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이는 통일을 말하는 데 있어 더 이상 ‘하나의 민족’ 과 ‘하나의 뿌리’라는 민족감정에만 호소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가져온다. 앞의 설문 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전쟁을 겪지 못하고 직접적인 분단의 고통을 받지 않는 어린 학생들은 ‘한민족’인 북한 사람들 보다 오히려 생김새가 전혀 다른 미국인을 더 친근하게 느끼게 된 것이다. 이는 소통과 교류의 부족 등 여러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어찌 되었든 결론 적으로 이제까지 고수해온 민족감정에 호소하는 통일 교육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현재 세계적으로 큰 교육의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은 통일 교육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다. 한 사회에 다양한 집단의 문화가 서로 인정, 존중하면서 공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문화 교육은 통일 한국에서 체제가 전혀 다른 북한과 남한이 서로 갈등을 최소화하며 공존할 수 있는 길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의 사회통합교육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알려 줄 것이라 생각한다. 그들은 애초부터 국가의 구성이 수많은 이민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국가 형태 또한 북한이 이상적인 통일방향이라 제시한 연방제를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1960년대에는 막연히 '연방제'를 주장하다가, 1973년 '고려연방제'로 바꾼 뒤, 1980년 10월 10일 노동당 제6차대회에서 '민주'라는 수식어를 덧붙여 '고려민주연방공화국창립방안'을 내놓은 이래 현재까지 이 방안을 고수하고 있다.
    그들이 서로 다른 특성의 각 민족 간의 갈등을 줄이고 통합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 사회통합교육의 방향을 알아봄으로써 한반도의 통일에 대비하는, 혹은 통일이 되었을 때의 갈등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도록 하자.

    1) 미국 사회통합교육의 방향
    미국은 수많은 이민자들로 구성되어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미국인의 이미지는 금발에 벽안인 백인을 떠올리지만 사실상 이들도 신항로개척시기를 통해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이